고동진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사장 (자료 삼성전자)
고동진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사장 (자료 삼성전자)
"배터리 A업체는 삼성SDI이고 B업체는 중국 ATL이지요? 명확하게 원인이 밝혀졌다면, 책임을 물을 생각이 있으신지요?"

23일 서울 서초 삼성전자 사옥. 삼성전자의 갤럭시노트7의 소손(불에 타서 부서짐) 원인을 밝히기 위한 기자간담회 자리였다. 일문 일답 시간에 한 기자가 업체명을 되물었다. 모두가 알고 있었다. 하지만 고동진 삼성전자 사장(무선사업부장)은 끝까지 회사명을 입 밖으로 내지 않았다.

원인이 밝혀졌다면 책임소재도 파악됐다는 뜻으로도 해석된다. 그러나 고 사장은 전과 같은 입장을 되풀이했다. 그는 "지난 9월 갤럭시노트7에 대한 리콜을 발표할 때나 지금이나 입장은 같다. 삼성전자가 세트 업체로서 법적 책임을 묻는 건 옳지 않다고 본다"고 말했다.

고 사장은 두 업체의 이름을 밝히지 않은 채 협력업체와의 신뢰를 강조했다. 그는 "갤럭시노트7과 같은 제품에는 부품이 1000개 정도 들어가고 주요 부품은 400개 정도로 압축된다. 1차 협력사만도 450여개에 이른다"고 말했다.

더불어 "이번 제품(갤노트7)이 단종으로 가게 됐고, 손실을 감안하면 힘든 시기였다. 그러나 협력사이고 다른 분야에서 다른 모델에서 함께 일하고 있다"며 "우리가 제대로 검증하지 못한 책임이 있기 때문에, 최종적인 책임도 삼성이 져야 한다는 입장이다"라고 말했다.

두 회사의 소손비율에 대해서는 비교하기 어렵다는 답이 나왔다. 고 사장은 "A 배터리와 B 배터리의 소손 원인이 다른데다 리콜하는 과정도 달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안전 인증업체인 UL은 A 배터리(삼성SDI)는 배터리 우측 눌림 현상과 얇은 분리막이, B 배터리(중국 ATL)는 비정상 융착돌기·절연테이프 미부착·얇은 분리막 조합 등이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1차 리콜과 2차 리콜의 과정이 달랐기 때문에 비율을 비교하기 어렵다는 것. 이는 B배터리에 문제가 생기게 된 원인이 A 배터리를 사용한 제품의 리콜을 서두르다보니 결함이 생긴 게 아니냐는 질문과도 이어졌다. 그는 "A 배터리는 소비자들의 안전과 편의를 고려해 빠른 리콜을 진행했다"며 "B 배터리 제품은 원래 출시가 좀 늦게 추진되는 일정이었고, B 회사 자체의 규모가 위상으로 볼 때 무리가 되는 수준은 아니었다"고 해명했다.

특히 B 회사는 중국업체다. 리콜되는 과정에서 오해를 일으킨데에 대해 중국 소비자들에게 직접적인 사과를 하기도 했다. 그는 "1차 리콜 때 중국 소비자 여러분께 좀 더 자세히 커뮤니케이션하고 설명을 더 정확해 했더라면 이중 잣대 논란이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중국 소비자들이 마음 상하고 불편을 겪은 점에 대해 이 자리를 빌려 깊이 사과드린다"고 전했다. 지난해 1차 리콜 후 ATL 배터리를 탑재한 갤럭시노트7도 발화 사고를 일으켰다. 중국 국가질량감독검험검역총국(질검총국)은 이후 10월11일 자체적으로 공식 리콜을 발표했다.

제조회사와 모델에 따라서 배터리가 만들어지기 때문에 최종 책임이 삼성에 있다는 부분도 강조했다. 경쟁회사를 의식해 무리하게 신제품 출시를 서두르다보니 결함이 생긴 게 아니냐는 질문에는 "갤럭시노트 시리즈는 매년 가을에 주로 출시했기 때문에 연례적인 것이었다"고 답했다.

이 밖에도 '갤럭시노트7이 방수방진 기능을 강화하다보니 열이 빠져나가지 못해서가 아니냐'라던가 '배터리를 보호하는 소프웨어 알고리즘의 잘못이 아니냐', '공정상의 세트 압착 과정에서 스트레스가 원인이 아니냐' 등의 질문에 대해서도 "모든 점을 고려해서 자체 및 외부 조사를 했지만 문제가 없었다"고 자신했다.

고 사장은 "철저한 원인 규명을 위해 지난 4개월간 700여명의 개발자들이 투입됐고, 나 역시도 하루도 빠지지 않고 일했다"며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등 제품뿐만 아니라 각각의 검증 단계와 제조, 물류, 보관 등 전 공정에서 원점부터 총체적이고 깊이 있는 조사를 했다"고 설명했다.

김하나 한경닷컴 기자 hana@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