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여자 기계체조가 36년 만에 올림픽 단체전 무대를 밟는다.
이윤서(경북도청), 여서정(제천시청), 신솔이(강원도체육회), 엄도현(제주삼다수), 이다영(한국체대)으로 이뤄진 여자 대표팀은 3일 오전(한국시간) 벨기에 안트베르펜의 스포츠 팔레이스에서 끝난 제52회 세계선수권대회 여자 단체전 예선에서 도마-이단평행봉-평균대-마루운동 4개 종목 합계 157.297점을 획득해 참가 24개국 중 11위를 차지했다.
국제체조연맹(FIG)은 지난해 세계선수권 단체전 1∼3위인 미국, 영국, 캐나다에 2024 파리 올림픽 출전권 3장을 먼저 배분했고, 세 나라를 제외한 올해 세계선수권 상위 9개 팀에 나머지 출전권을 준다.
이에 따라 이날 단체전 예선에서 1위 미국, 2위 영국 등 이미 파리 올림픽 출전권을 획득한 두 나라를 빼면 우리나라는 9위로 상승해 파리행 막차를 탔다.
한국 여자 체조가 올림픽 단체전에 출전하는 건 1988년 서울 대회 이래 36년 만이다.
그간 단체전에 출전하지 못한 한국 여자 체조 선수들은 FIG가 국가별로 할당한 개인 자격으로 1∼2명씩 올림픽 개인 종목에만 출전했다.
여자 체조와 달리 남자 체조 대표팀은 이번 대회 상위 9위 안에 들지 못해 1992년 바르셀로나 대회부터 이어오던 올림픽 연속 출전 기록을 '8'에서 중단했다.
2020 도쿄 올림픽 여자 도마 동메달리스트인 여서정은 이날 개인 종목별 결선 진출자 선발을 겸한 단체전 예선 도마에서 1, 2차 시기 평균 14.516점을 받아 8명이 겨루는 결선에 진출해 7일 오후 9시 메달에 도전한다.
한편 도쿄 올림픽에서 과중한 스트레스에 시달려 멘털 장애를 겪은 뒤 파리 올림픽을 향해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페이스를 끌어올린 '체조 여제' 시몬 바일스(미
[아시안게임] 한국 육상, 연거푸 입상 실패…3일 남자 400m 계주서 메달 도전
항저우 아시안게임 육상 첫날(9월 29일) '고교생' 김태희(18·이리공고)가 여자 해머던지기에서 동메달을 딴 후, 한국 육상은 사흘째 메달을 추가하지 못했다.
2일 육상 8개 종목에서 메달리스트가 나왔지만, 시상식에서 태극기는 한 번도 걸리지 않았다.
고승환(25·광주광역시청)은 이날 오후 중국 저장성 항저우 올림픽 스포츠센터 주 경기장에서 열린 남자 200m 결선에서 21초06으로 7위를 했다.
준결선 때 기록(20초87)보다 결선 기록이 느려, 아쉬움이 남았다.
이 종목에서는 우에야마 고키(일본)가 20초60으로 우승했다.
남자 허들 110m 결선에 진출한 김경태(26·안산시청)는 13초73의 개인 최고 기록(종전 13초84)을 세우고도 7위에 머물렀다.
야쿱 알유하(쿠웨이트)와 다카야마 순야(일본)는 13초409로 1천분의 1초까지 같아, 공동 1위에 올랐다.
아시안게임 남자 110m 허들에서 공동 금메달이 나온 건 이번이 처음이다.
알유하는 쿠웨이트 선수로는 최초로 아시안게임 남자 110m 허들 챔피언에 올랐다.
여자 장대높이뛰기 결선에 출전한 신수영(25·강원도체육회)은 3m60으로 8위에 머물렀다.
4m72의 아시아 기록을 보유한 리룽(중국)이 4m63의 대회 신기록을 세우며 아시안게임 3연패에 성공했다.
이희진(24·청양군청)은 여자 멀리뛰기 결선에서 6m06에 그쳐 15명 중 9위를 했고, 남자 원반던지기에 출전한 김일현(29·경산시청)은 48m62로 11명 중 10위에 머물렀다.
3일에는 메달을 바라보는 종목이 있다.
2일 오전 이정태(27·안양시청), 김국영(32·광주광역시청), 이재성(22·한국체대), 박원진(20·속초시청) 순으로 달려 38초75로 남자 400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