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조원대 아파트용 특판가구 담합 의혹을 수사하는 검찰이 한샘·현대리바트 등 가구회사를 압수수색했다. 수사 과정에서 건설산업기본법 및 공정거래법 위반 혐의를 포착한 것으로 전해졌다.서울중앙지방검찰청 공정거래조사부(부장검사 이정섭)는 1일 오전 강남과 마포 등에 있는 한샘·현대리바트 등 9개 가구회사의 사무실 10여 곳에 검사와 수사관을 보내 압수수색을 했다.검찰은 가구업체들이 신축 아파트에 빌트인으로 들어가는 특판가구 납품사 입찰과정에서 담합한 혐의를 포착해 수사하고 있다. 검찰은 그동안 가구회사 일부와 납품받은 건설회사 등 관련자 수십여 명을 불러 조사해왔다.특판가구는 아파트 ‘빌트인 가구’다. 비공개 입찰을 거쳐 납품업체를 선정하는데, 단지별로 최대 수천 세대에 가구가 공급된다. 담합 규모는 1조원대로 추산된다.최한종 기자
법무부는 1일 스마일공익신탁을 통해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는 범죄 피해자 및 유족 12명에게 총 3000만원의 지원금을 지급했다고 밝혔다. 가정 폭력에 시달리다가 이혼 후 생활고에 처한 피해자와 이웃의 폭행으로 뇌출혈이 발생했음에도 치료비를 구하지 못한 피해자 등에게 전달했다.스마일공익신탁은 2016년 법무부 직원들의 기탁금 3000만원을 바탕으로 설립됐다. 지금까지 국민들로부터 7억4800만원, 법무부에 설치된 천사공익신탁으로부터 1억8500만원을 기부받아 지원 재원을 마련했다. 설립 이후 136명에게 6억5780만원을 지급해 이들의 생계를 도왔다. 하나은행이 이 신탁을 관리·운용하고 있다.김진성 기자
정부가 항공·우주, 첨단소재 등 5개 핵심 사업 분야에서 미래 인재를 집중적으로 키운다. 또 중앙부처가 쥐고 있던 대학재정지원사업 예산 중 50%를 지방정부로 이관하기로 했다. 소멸 위기에 처한 지역 대학이 지역 특성에 맞춘 인재를 기르려면 지역 사정을 잘 아는 지방자치단체가 주도권을 쥐어야 한다는 취지다.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1일 경북 구미시 금오공대에서 열린 ‘제1차 인재양성전략회의’에 참석해 이 같은 내용의 부처 통합 방안을 의장인 윤석열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이날 회의를 주재한 윤 대통령은 “국가 발전의 동력은 과학기술이며 그 인재 양성이 가장 중요하다”며 “중앙정부가 대학 지원 예산과 권한을 지자체에 이양해 적합한 인재를 양성하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윤 대통령은 지난해 7~8월 반도체·디지털 인재양성전략 때부터 첨단분야 인재 양성을 강조해왔다. 이날 회의에선 정부가 핵심적으로 육성할 5대 분야를 선정했다. 앞글자를 따 ‘ABCDE’로, ‘항공·우주미래모빌리티’ ‘바이오헬스’ ‘첨단부품·소재’ ‘디지털’ ‘환경·에너지’다. 이 분야에서 인재를 기르기 위해 국가인재양성 기본법, 직업교육법, 인재데이터관리법까지 ‘인재양성 3법’ 제정을 추진한다.중앙부처의 권한은 대폭 지자체와 대학에 넘긴다. ‘지역혁신 중심 대학지원 체계(라이즈·RISE)’다. 이주호 부총리는 이날 “학령인구 감소와 수도권 선호 현상으로 심각한 소멸 위기에 처한 지역대학을 살리기 위해선 재정지원 체계에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하다”고 했다,이를 위해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