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세션(recession, 경기침체) 공포가 커지고 있다. 리세션은 경기가 활력을 잃고 전반적으로 축소되는 현상을 말한다. 미국 경제조사국에서는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2분기 연속 감소하면 리세션으로 정의한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는 대표적인 리세션으로, 1920년대 말 경제 대공황인 그레이트 디프레션(The Great Depression)에 빗대어 이 시기를 그레이트 리세션(The Great Recession)으로 부른다.2022년 10월 머서(MERCER)의 조사에 따르면 리세션 중에 있거나 리세션에 접어든다고 응답한 CEO와 CFO는 87%에 달한다. 이 중 절반은 리세션이 향후 1~2년 동안 지속되리라 예상했다. 리세션은 분명 힘든 시기다.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재무 상황이 악화하는 등의 어려움을 겪는다. 반면 리세션을 성공적으로 극복한 기업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하버드비즈니스리뷰에서 밝힌 연구에 따르면 리세션 시기를 거친 4700여개 미국 공기업 중 17%는 파산, 민영화 또는 다른 기관에 인수됐지만, 9% 기업은 리세션 후 크게 반등해 매출과 이익 증가 측면에서 경쟁 기업을 10% 이상 능가했다. 글로벌 컨설팅사 베인앤드컴퍼니의 보고서에서도 상위 10% 기업은 글로벌 금융위기 내내 실적이 꾸준히 늘어난 모습을 볼 수 있다. 과연 무엇이 이런 차이를 만드는 것일까.리세션 시기에는 인력 감축을 불가피한 조치로 받아들인다. 많은 이들이 인력 감축이 인건비 절감으로 이어질 것으로 생각한다. 하지만 리세션 이후의 재고용과 교육훈련을 감안하면 인력 감축은 장기적으로 비용이 더 드는 조치일 수 있다.경기침체를 예상하며 구조조정을 고민하는 기업이 늘고 있다. 인력 감축 칼바람이 분다는 소식에 구성원은 불안감을 느낄 수밖에
고용노동부 장관 간담회서 건의…"이중구조 개선 위해 인건비 반영 필요" 고용위기 지역에서 해제되면서 미납 4대 보험료 납부 부담에 놓인 울산 지역 조선 협력업체들이 정부에 보험료 납부 기간 연장을 건의했다. 6일 현대중공업 울산 본사 아산홀에선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이 참석한 가운데 울산 지역 조선업 원하청 간담회가 비공개로 열렸다. 이 자리에서 협력업체는 미납 4대 보험료를 50∼60개월에 걸쳐 나눠 내는 방안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중공업과 조선 협력업체가 모여 있는 울산 동구는 2018년부터 5년간 고용위기지역에 지정돼 4대 보험료 납부 유예 등 혜택을 받아왔으나 지난해 말 재지정에 탈락하면서 올해부터 미납 보험료를 갚아야 하는 실정이다. 현대중공업사내협력사협의회에 따르면 소속 협력사 미납금은 246억원(지난해 9월 기준) 규모로 추정된다. 일부는 미납금 납부에 따른 경영 위기를 호소하고 있다. 고용노동부는 미납 산재·고용보험료에 대해선 36개월 분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협력업체들은 "수주 증가 효과가 현장에 나타나려면 최소 1년 이상은 걸리기 때문에 납부 기한을 연장해달라"고 이번 간담회에서 요청한 것이다. 협력업체들은 또, "원하청 사이 임금 격차 등으로 대표되는 노동시장 이중 구조 개선을 위해 원청이 하청 노동자 임금을 지금보다 높게 반영해야 한다"고 건의했다. 하청 근로자들이 더 많이 일하고 더 많은 돈을 벌 수 있도록 하자는 취지로 주 52시간 노동제 해제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무덕 현대중공업사내협력사협의회 대표는 "원청에서도 이중 구조 개선을 위해 연구를 하는 것으로 안다"며 "하청 노동자 인건비 상승이 반
신민준·임민식·윤민서 군…밤에는 외국인에게 한국어회화 전화 교육 대전맹학교 고3 과정 시각장애 학생 3명이 대학교 수시모집 합격과 한국어강사 취업을 동시에 달성했다. 6일 대전맹학교에 따르면 신민준 학생은 대전대 공연예술컨텐츠학과에, 임민식 학생은 충남대 언론정보학과에, 윤민서 학생은 목원대 사회복지학과에 합격했다. 이들 학생은 동시에 전화나 컴퓨터 메신저의 목소리 대화창을 통해 외국인에게 한국어회화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적기업 취업에도 성공했다. 이에 따라 학생들은 낮에는 학업에 열중하고, 밤에는 외국인들에게 한국어회화를 가르치게 된다. 신민준 학생은 "표현력이 다소 부족해 면접 준비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지만, 모의 면접을 통해 단점을 수정해나가며 자신감을 갖게 됐다"고 말했다. 윤민서 학생도 "대학 진학과 취업 준비에 많은 도움을 주신 선생님들께 감사드린다"고 덧붙였다. 대전맹학교는 다양한 교육을 통해 시각장애 학생들의 한국어강사 취업을 돕고 있다. 실무능력을 키워주는 동시에 자기소개서 첨삭지도와 모의면접을 실시하고, 한국어강사로 활동하고 있는 선배들과 취업 성공사례 등을 공유하게 하고 있다. 이만희 교사는 "외국인에게 한국어회화를 가르치는 데 있어 시각장애 학생들의 섬세한 언어표현 능력이 강점으로 작용한다"며 "앞으로도 학생들의 진로 설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대전맹학교는 오는 8일 졸업식 때 최근 3년간 20명 가까운 학생들을 한국어강사로 채용해준 코리안앳유어도어(Korean at Your Door) 대표에게 감사패를 전달할 예정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