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학회 '미디어 정책 재설계' 세미나…낮은 프로그램 이용료 지적

최근 불거진 방송업계 플랫폼과 콘텐츠 사업자 간 갈등의 구조적 요인은 저가 요금 시장 구조에서 비롯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최근에는 콘텐츠 제공사업자(CP)인 CJ ENM이 IPTV 3사에 콘텐츠 사용료 인상을 요구하고, LG유플러스에는 5억 원의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하기에 이르렀다.

전범수 한양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2일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한국언론학회와 한국미디어정책학회 주최로 열린 '통합 미디어 환경 변화에 따른 미디어 정책 재설계' 세미나에서 이같이 지적했다.

'유료방송 플랫폼 시장 구조 변화와 콘텐츠·채널 대가 산정 방향'을 주제로 발제한 전 교수는 "낮은 프로그램 이용료가 콘텐츠 투자를 위축하고, 콘텐츠의 품질과 다양성이 하락하게 되면 이용자의 만족도도 낮아지고 시장은 위축돼 해외 콘텐츠 유통 약화로까지 이어진다"고 짚었다.

전 교수는 ARPU(가입자당 평균 수익) 인상의 필요성도 강조하며 이를 통해 콘텐츠 시장을 활성화하고 협상력을 증대함으로써 PP(방송채널사용사업자) 시장 내 제로섬 게임을 방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플랫폼 사업자들이 몰리고 대체 OTT(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경쟁이 심한 상황에서 '선계약 후공급' 거래 방식을 도입하는 방안도 검토할 수 있다고 봤다.

전 교수는 "프로그램 제작비 증가는 프로그램 가격에 반영될 필요가 있다.

광고시장에서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라며 플랫폼 사업자의 콘텐츠 매출 대비 이용료 배분 기준은 영화산업을 참고해 50~55% 정도로 제안했다.

그러면서 "양질의 콘텐츠와 채널을 서로 제공하는 데 있어 합리적 대가를 지불할 때 플랫폼과 콘텐츠·채널이 함께 성장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전 교수는 미국 등에서는 플랫폼-콘텐츠 사업자 간 협상 중단에 채널 '블랙아웃' 사례가 증가한다며 국내에도 이런 사례가 발생하기 시작하면 플랫폼 사업자들의 안정적인 비즈니스 모델이 약화하고 가입자도 이탈하리라 전망했다.

그는 OTT 플랫폼과 관련해서는 "낮은 수익성에도 넷플릭스와 같이 거대 플랫폼이 버티는 이유는 독점적 플랫폼 시장 지배력이 있기 때문"이라며 "OTT 사업자는 독과점 사업자만 남게 될 것"이라고 예상하기도 했다.

이에 앞서 황성연 닐슨미디어코리아 박사는 '데이터 기반 미디어 정책을 위한 현실과 전망'을 주제로 발제하면서 "TV 시청률은 지속해서 하락하고, 영상을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는 증가한다"면서도 가구 시청률의 하락이 방송의 영향력 감소로 직결되지는 않는다고 분석했다.

황 박사는 가구 분화, 수도권 인구 집중화 현상에 시청 지표가 변화하며 TV를 시청할 수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 간 격차가 커지는 상황이라고 짚었다.

그는 "방송시장의 변화에 대한 관심보다 채널 순위에만 관심이 높아 시청률 조사의 의미가 변질했다"며 미국은 OTT를 포함한 플랫폼별 방송 시청 시간의 변화를 분기마다 조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황 박사는 기존 시청지표와 다른 성격의 VOD(주문형비디오) 시청의 지표화 기준 등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플랫폼과 콘텐츠 사업자 간 합리적 수익 분할 합의돼야"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