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명이 피해자 지목해 나머지 2명에 범행 제안범행 당일도 피해자 미행…대포폰·현금·렌터카로 추적 피해 경찰은 지난달 29일 서울 강남구 주택가에서 발생한 납치·살인 사건을 피해자가 소유한 가상화폐를 노린 일당 3명이 2∼3개월을 준비해 벌인 계획범죄로 규정했다. 다음은 1일 백남익 수서경찰서장과 일문일답. -- 피해자와 피의자 3명의 관계는. ▲ 피의자 A씨와 B씨는 과거 배달 대행 일을 하며 알게 된 사이다. B씨가 대학 동기인 C씨를 A씨에 소개해 서로 알게 됐다. A씨와 B씨는 피해자와 모르는 사이며, C씨는 이에 대해 진술을 거부하고 있다. -- 범행 동기는 ▲ A씨와 B씨는 금전(가상화폐) 목적으로 범행을 한 것이라는 취지로 진술했다. A씨는 처음부터 금품을 뺏은 후 살해하려고 납치했다고 말했다. 청부 사건인지는 확인하고 있다. A씨는 B씨가 3천600만원 가량인 자신의 채무를 대신 갚아주는 조건으로 범행에 가담했다고 진술했다. -- 공모 경위와 범행에서 피의자들 역할은. ▲ A씨 진술에 의하면 C씨는 피해자를 범행 대상으로 지목해 B씨에게 (납치·살해할 것을) 제안하고 B씨는 다시 A씨에게 이를 제안하는 방식으로 공모했다. A씨와 B씨는 피해자 납치·살해한 뒤 유기하는 데 직접 가담했다. C씨는 직접 가담은 안 했으나 범행도구를 제공했고 납치 이후 두 사람과 만난 정황이 있다. -- 범행 준비는 어떻게 했나. ▲ 피해자를 범행 대상으로 선정한 후 2∼3개월 전부터 미행하고 범행 도구를 준비한 것으로 본다. 범행 하루 전 상경해 범행 당일(3월29일) 오후 4시께부터 피해자의 사무실 인근에서 대기하다가 오후 7시께 퇴근하는 피해자를 미행했고 A, B씨가 주거지 인근에서 납치했
"내부 제보자, 사퇴 압박 위해 자료 불법 제공" 주장 감사원의 표적 감사 의혹을 제기한 전현희 국민권익위원장이 4일 고발인 신분으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에 출석한다. 1일 법조계에 따르면 공수처 특별수사본부(이대환 부장검사)는 4일 전 위원장을 불러 구체적인 고발 경위 등을 확인할 예정이다. 감사원은 지난해 9월 권익위에 대해 특별 감사를 벌였다. 전 위원장의 근태 의혹을 비롯한 10여개 항목이 감사 대상에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후 전 위원장은 지난해 12월 최재해 감사원장과 유병호 감사원 사무총장, 권익위 고위 관계자 A씨를 공수처에 고발했다. A씨는 감사원에 전 위원장 관련 의혹을 제보한 인물로 지목됐다. 전 위원장은 "(제보자가) 권익위원장 사퇴를 압박하고자 직무상 비밀인 청탁금지법 신고 관련 내부 자료를 불법적으로 취득해 감사원에 제공한 의혹이 있다"며 고발 이유를 밝혔다. /연합뉴스
노 전 대통령 2003년 국가원수로 제주 4·3 첫 사과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 묘역에서 제주 4·3 추념식이 처음으로 엄수됐다. 제주4·3 범국민위원회, 노무현재단 제주위원회, 평화통일교육문화센터, 보리아트연구소는 1일 오후 경남 김해시 진영읍 봉하마을 노무현 전 대통령 묘역에서 4.3 추념식을 거행했다. 제주4·3 희생자 유족, 여순 10·19 사건 유족, 경산 코발트광산 희생자 유족, 대전 산내사건 희생자 유족 등 해방과 한국전쟁을 전후로 희생된 민간인 유족과 1987년 10월 항쟁 유족 등 100여명이 참석했다. 올해는 제주 4·3 75주년이면서 노 전 대통령이 헌정사상 처음으로 제주 4·3에 대해 사과한 지 20주년을 맞는 해다. 노 전 대통령은 2003년 10월 제주를 찾아 "국정을 책임지는 대통령으로서 과거 국가 권력의 잘못에 대해 유족과 제주도민 여러분에게 진심으로 사과와 위로의 말씀을 드립니다"라며 사건 발생 55년 만에 국가원수로서 첫 사과를 했다. 노 전 대통령은 2006년 58주기 추념식에 현직 대통령으로서 처음 참석까지 했다. 주최 측은 노 전 대통령 묘역에 헌화, 분향한 후 노 전 대통령의 사과 이후 발간된 4·3 관련 서적을 묘역에 헌정했다. 참석 단체, 개인, 기관 대표 등 참석자들은 젊은 시절 경찰이 쏜 총에 턱을 잃은 여성의 삶을 쓴 '무명천 할머니', 제주 4·3 사건 진실규명 과정을 기록한 '4·3의 진실을 찾아서',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노력으로 바뀐 중학교·고등학교 역사교과서 개정판 등을 노 전 대통령이 잠든 너럭바위에 바쳤다. 이상언 제주4·3 희생자 유족회 상임부회장은 '제주 4·3' 3만 희생자와 6만 유가족을 대표해 노무현 전 대통령께 드리는 편지를 낭독했다. 이 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