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가부 '인공지능 분야 양성평등 정책 확산을 위한 토론회'
정영애 장관 "인공지능, 기술오용·성별 편향성 등 역기능 최소화해야"
'이루다 사태' 계기 AI산업계 실태보니…여성대표 5.5% 그쳐
성차별과 동성애·장애인 혐오 등의 논란을 일으킨 인공지능(AI) 챗봇 '이루다' 사태를 계기로 인공지능 산업의 성별 다양성을 높여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13일 최문정 한국과학기술원(KAIST) 과학기술정책대학원 교수는 여성가족부의 의뢰를 받아 지난해 9∼12월 인공지능 분야에 대해 진행한 특정성별영향평가 연구 결과를 공개했다.

연구 결과 공개는 이날 오후 대전 유성구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여가부 주최로 열린 '인공지능 분야 양성평등 정책 확산을 위한 토론회'에서 이뤄졌다.

최 교수에 따르면 2019년 기준 인공지능 관련 사업체 271개에서 여성 대표자의 비율은 5.5%로 나타났다.

2018년 기준으로 소프트웨어 산업기업 2천766개 중 여성 대표자는 5.0%로 집계됐다.

이 업계의 여성 전문인력의 비율은 17.8%로 나타났다.

최 교수는 "종사자 규모와 매출이 큰 사업체일수록 대표자가 여성일 확률이 낮다"고 분석했다.

학계에서는 4년제 대학의 전자·정보통신공학 관련 교원 2천429명 중 여성 비율은 2.9%로 집계됐다.

공학 교원(1만5천663명) 중에서는 여성이 5.1%, 컴퓨터학 교원(2천586명) 중에서는 11.9%로 조사됐다.

최 교수는 이런 결과와 관련해 "인공지능 연구 분야가 다른 이공계 분야에 비해 수평적이고 자유로운 분위기라는 인식이 존재해 여성이 적응하기 쉽다고 생각하는 그룹이 있지만 인공지능 분야에서 여성이 겪는 어려움은 사실상 다른 이공계와 비슷하게 존재한다"고 평가했다.

이어 "인공지능 전문인력이 이해하기 쉽고 실제로 도움이 될 만한 효과적인 인공지능 윤리교육이 필요하다"면서 "책임 있는 인공지능과 윤리적 이슈에 대한 연구 지원 확대와 실효성 있는 인공지능 윤리교육 개발·시행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정영애 여가부 장관은 "최근 우리 사회는 인공지능 챗봇 '이루다'의 성별 고정관념, 성차별적 발언, 장애인 혐오 표현 대화 등으로 인공지능 기술의 윤리적 개발 및 활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인공지능으로 인한 사회적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인간의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는 공정하고 윤리적인 인공지능 개발이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면서 "인공지능이 우리 사회의 바람직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기술 개발과 함께 기술 오용, 데이터 편향성, 성별 편향성 등의 역기능을 최소화해야 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토론회에는 오혜연 카이스트 인공지능 통합연구센터 소장, 윤형주 한국여성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 임소연 숙명여대 인문학연구소 교수 등이 참석했다.

토론회는 카이스트 유튜브(https://youtu.be/fZD7O_UhEfo)로도 생중계됐다.

'이루다 사태' 계기 AI산업계 실태보니…여성대표 5.5% 그쳐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