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기 후 이어진 금융·실물 괴리 코로나로 더 악화"
2차 경제충격땐 중앙은행 역할 요구 커질 것…자본시장硏 콘퍼런스
이창용 IMF국장 "백신 개발 늦어지면 자산시장 조정 가능성"
' />

이창용 국제통화기금(IMF) 아시아·태평양 담당 국장은 16일 글로벌 유동성 확장으로 전 세계 자산 가격이 크게 치솟았지만 가격이 급락하는 경착륙 가능성에 유의해야 할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 등으로 2차 경제 충격이 나타날 경우 재정 부양책만으로 한계가 있으므로 중앙은행 역할론에 대한 기대가 한층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 국장은 이날 자본시장연구원이 '포스트 코로나 시대 경제 환경변화와 금융의 역할'을 주제로 연 온라인 콘퍼런스에서 기조연설 영상을 통해 글로벌 금융시장의 과잉 유동성 문제에 따른 영향 및 문제점과 관련해 언급했다.

그는 "금융시장은 백신이나 치료제가 올 연말 나올 것으로 비중을 두는 분위기"라며 "주식시장 가격이 전망보다 좋다 보니 실물과 금융 간 불일치가 있다고 한다"고 말했다.

이어 "백신 개발이 연말까지 된다면 좋겠지만, 만약 연기된다면 시장이 실망하면서 자산 가격이 크게 조정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 국장은 "금융과 실물 간 괴리 현상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지속됐는데 코로나19로 문제가 더 악화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기업 부도율이 2009년 세계 금융위기 이후 가장 높아진 상황"이라며 "저금리 상황이라 큰 문제가 없을 것 같지만 부도율 증가 문제를 걱정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이창용 IMF국장 "백신 개발 늦어지면 자산시장 조정 가능성"
이 국장은 특히 선진국보다는 아시아 신흥국가들의 성장 회복 속도가 더딜 가능성을 우려했다.

그는 "아시아 많은 국가가 수출 중심 경제구조인데 전 세계 경제가 하향 국면에 들어가면서 수출이 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며 "백신이 개발돼도 관광이 빠르게 회복할 것이라 가정할 수 없다는 점, 아시아국의 재정 여력이 제한된 점 등도 우려되는 대목"이라고 언급했다.

이 국장은 경제 충격이 추가로 발생할 경우 신흥국에서도 양적완화(QE)와 같은 비전통적 통화정책을 고려해야 할 상황에 직면할 수 있다고 말했다.

재정 여력에 한계가 있다 보니 중앙은행이 좀 더 과감한 역할을 해야 하지 않느냐는 정치적 압력이 커질 것이란 설명이다.

이 국장은 아시아 국가가 선택할 수 있는 비전통적 통화정책 수단으로 양적완화나 마이너스 금리 정책보다는 '수익률 곡선 제어(YCC)' 정책이 상대적으로 유효할 것으로 판단했다.

한국 경제와 관련해선 재정 건전성 악화 가능성에 우려를 표했다.

이 국장은 "재정 지출 증가가 단기적으로 경기 부양을 위해서만 쓰이고, 구조적인 재정 적자에는 영향을 주지 말아야 한다"며 "국내총생산 대비 국가부채 비율이 40% 수준으로 낮아 여력이 있으니 팍팍 써도 된다는 것은 무책임한 얘기"라고 강조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