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여정 "군 총참모부에 행사권 넘겨"…9·19 군사합의 파기수순 관측
개성 연락사무소 '붕괴'도 예고…정예부대 재배치로 '군사요충지' 회귀 가능성
북한, 대남 무력시위 공식선언…"다음 보복행동은 군대가"
북한이 남측을 '적'으로 규정한데 이어 13일 군사 행동에 나설 것을 사실상 공식화했다.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은 이날 오후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발표한 담화에서 "우리는 곧 다음 단계의 행동을 취할 것"이라며 "다음번 (남측을 향한) 대적 행동의 행사권은 우리 군대 총참모부에 넘겨주려고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우리 군대 역시 인민들의 분노를 다소나마 식혀줄 그 무엇인가를 결심하고 단행할 것이라고 믿는다"라고 강조했다.

북한 인민군 총참모부는 남측으로 치면 합동참모본부에 해당하는 조직으로, 북한의 모든 군사작전을 지휘하는 군령권을 행사한다.

지난해 신형 단거리 탄도미사일 4종 개발 공로 등으로 김정은 위원장의 신임을 얻고 군 수뇌부 중 유일하게 차수(원수와 대장 사이 계급)로 승진한 박정천 총참모부장이 이끌고 있다.

총참모부에 행사권을 넘겼다는 것은 결국 대남 군사 행동을 지시·승인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주목할 대목은 김 제1부부장이 군이 나설 것을 암시하는 동시에 "멀지 않아 쓸모없는 북남(남북)공동연락사무소가 형체도 없이 무너지는 비참한 광경을 보게 될 것"이라고 언급한 대목이다.

이미 북한의 일방적인 연락채널 차단으로 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건물 자체를 없애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이에 따라 개성 일대를 과거의 '군사요충지'로 복귀시킬 것이란 가능성이 제기된다.

실제로 북한 개성공단 지역은 유사시 최우선 남침 통로로 꼽혀온 곳이다.

과거 개성에서 병력과 장비를 집결해 문산을 거쳐 서울까지 최단시간내 돌파할 수 있는 군사적 요충지로 꼽혔다.

이런 이유로 2003년 개성공단 착공 이전까지만 해도 개성과 판문읍 봉동리 일대에는 2군단 소속의 6사단, 64사단, 62포병여단이 배치돼 있었다.

개성공단 가동 당시엔 남북 경협의 상징으로, 2018년 판문점 선언 이후 공동연락사무소가 들어서며 남북간 상시 소통 공간으로 상징됐던 개성에 정예부대가 재주둔한다면 그 자체만으로도 적잖은 파장이 예상된다.

김 제1부부장이 이미 지난 4일 담화에서 언급한대로 9·19 남북군사합의 파기 수순을 밟을 것이란 전망도 함께 나온다.

우선 북한은 2018년 평양 남북정상회담 계기에 체결된 9·19 남북군사합의에 따라 중단했던 군사분계선 5㎞ 이내 구역에서 다수의 포병사격 및 야외기동훈련 등을 재개할 가능성이 있다.

해안포 재배치나 해상 완충구역 내에서의 사격 훈련을 재개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문재인 정부가 군사합의의 최대 성과 중 하나로 자부해온 감시초소(GP) 시범 철수 조처를 철회해 군사분계선 지역에서 군사적 긴장지수를 높일 수도 있다.

현재로선 북한의 조처가 남측을 겨냥한 것임을 분명히 하고는 있지만, 박정천 총참모장의 지휘 하에 남측을 사정권에 둔 단거리 탄도미사일 발사 재개를 시작으로 향후 단계적으로 도발 수위를 높일 것이란 관측도 일각에서 나온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