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본부, 2019년 쪽방 거주자 폐결핵 검진 시범사업 결과

국내 일부 지역 쪽방 거주자의 결핵 발생률이 일반인보다 12배 높은 것으로 드러나는 등 쪽방 거주자들이 결핵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질병관리본부의 주간 '건강과 질병'에 실린 '2019년 쪽방 거주자 폐결핵 검진 시범사업 결과'보고서에 따르면 질본은 대한결핵협회와 함께 2019년 8∼10월 일부 지역 쪽방촌을 대상으로 결핵 검진 시범사업을 벌였다.

결핵 발병위험과 전파 파급력이 큰 노숙인에 대한 결핵 관리 강화 검진·치료 프로토콜을 개발하려는 취지였다.

이 검진사업에 참여한 483명을 상대로 흉부 X선 검사(482명)와 객담 검사(141명)를 한 결과, 3명의 결핵 환자가 발견됐다.

객관적 지표인 '인구 10만명당 결핵 발생률'로 따지면 621명이었다.

일반 인구(2018년 기준 51.5명)보다 무려 12배가량 높았다.

또 국내 결핵 신규환자의 46%를 차지하는 노인 인구의 결핵 발생률(인구 10만명당 163명)에 견줘서도 약 4배 높은 수준이었다.

이번에 발견된 결핵 환자 3명은 결핵 외에도 당뇨 등 기저질환(지병), 시각장애, 우울증약 복용, 알코올 중독 등을 동반하고 있었다.

이 중 2명은 결핵 과거 이력이 없는 환자로 광범위 약제내성 등으로 진단됐다.

우리나라는 '결핵 후진국'으로 불린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에서 결핵 발생률 1위다.

2017년 인구 10만명당 결핵 발생률은 70.4명이었다.

이는 OECD 평균 11.1명보다 훨씬 높은 수치다.

결핵 환자가 유독 많은 이유는 한국전쟁 이후 1960년대까지 열악한 영양·주거 환경으로 인해 결핵균에 감염된 사람이 많았고, 이들이 노인이 되면서 면역력이 떨어져 실제 결핵으로 발전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결핵은 공기를 통해 폐에 균이 들어와 전파되고 오랫동안 증상 없이 잠복하다가 발생하기 때문에 사전에 통제하기가 어려운 질병이다.

치료를 하려면 6개월 이상 아이소니아지드 등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 약을 매일 먹어야 한다.

치료를 중간에 중단하면 약에 내성을 보이는 결핵균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런 경우 12개월 이상 추가 치료가 필요하다.

정부는 2030년까지 결핵을 퇴치하기 위해 결핵 발병·전파 위험이 큰 노인, 노숙인, 쪽방 거주자 등 취약계층에 대한 결핵 검진과 환자 관리를 강화하기로 했다.

특히 결핵 검진 사각지대에 있는 저소득 노인, 노숙인, 쪽방 거주자가 1년에 1회 검진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기로 했다.

결핵 확진 검사비와 잠복 결핵 치료비는 전액 국가와 건강보험이 부담하고, 결핵 고위험국가에서 오는 외국인에 대한 검진도 한층 강화하기로 했다.

잠복 결핵은 결핵균에 노출돼 감염은 됐으나 실제 발병은 하지 않은 상태다.

다른 사람에게 결핵을 전파하지도 않는다.

하지만 통계적으로 잠복 결핵 감염자의 10%는 나중에 결핵 환자가 된다.

이런 대책을 통해 정부는 2030년까지 국내 결핵 발생률을 결핵 퇴치 수준인 인구 10만명당 10명 미만으로 낮춘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결핵 사각지대' 쪽방 거주자 결핵발생률…일반인보다 12배 높아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