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대한 비용 들여 철거하는 방안이 되려 손해 판단
환경단체 "영산강 본류 물 부족 없었다…다리만 남겨도 돼"
승촌보 '해체' 아닌 '상시개방' 결정 이유는? "경제성 낮아"
해체가 결정된 죽산보와 달리 승촌보는 막대한 비용을 들여 철거하는 방안이 되려 손해라는 분석 결과에 따라 존치하게 됐다.

4대강의 자연성 회복 방안을 추진해온 환경부 4대강 조사·평가 기획위원회(이하 기획위원회)는 22일 승촌보를 상시 개방하는 영산강 보 처리방안을 발표했다.

기획위원회는 "승촌보가 없어질 경우 영산강 수질과 생태가 개선될 것으로 예상하나 종합적으로 볼 때 보 해체 경제성은 낮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보 해체 경제성이 낮다는 판단에 따라 양수장과 지하수 등 물 이용 대책 수립을 거쳐 상시 개방하는 방안이 합리적이라는 의견을 제시했다.

기획위는 같은 맥락에서 수질과 생태 개선, 유지·관리 비용 절감 등의 편익이 제반 비용을 상회한다고 평가해 죽산보는 해체가 필요하다고 결론을 내렸다.

이러한 보 처리방안을 두고 영산강재자연화시민행동 등 지역 환경단체는 "합당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승촌보 '해체' 아닌 '상시개방' 결정 이유는? "경제성 낮아"
최지현 광주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은 연합뉴스 통화에서 "수문 완전 개방 기간이 짧아 종합적인 판단이 내려질까 우려했던 죽산보는 해체 결정이 나고 아무런 효용성이 없어 해체가 맞다고 본 승촌보는 존치하게 됐다"며 "아이러니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최 사무처장은 "경제성 평가가 향후 50년 정도를 내다보며 이뤄진다고 하던데 정확한 지표가 궁금하다"며 "승촌보의 긍정적 기능은 없는 것으로 여러 차례 판명 났다"고 주장했다.

환경단체는 공도교(다리)로의 기능과 인근 수막재배 시설하우스 증가에 따른 대처 방안이 필요한 상황 때문에 승촌보를 존치하는 결정이 난 것으로 분석했다.

4대강 사업 이전 승촌보 자리에는 영산강을 가로질러 광주 남구 승촌동과 전남 나주 노안면을 연결하는 학산교가 있었다.

현재도 승촌보 상단은 멀리 돌아갈 필요 없이 광주와 나주를 오가는 차량 통행량이 꾸준하다.

반면 죽산보 상단은 승촌보와 달리 사람과 자전거만 이용하도록 설계·시공됐다.

비닐하우스를 이중으로 설치하고 그사이에 수온이 높은 지하수를 흘려보내 보온 효과를 거두는 수막(水幕)재배 수요도 평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승촌보 '해체' 아닌 '상시개방' 결정 이유는? "경제성 낮아"
수막재배를 하려면 많은 지하수가 필요하지만 일반 재배시설보다 난방비가 적게 들어 4대강 사업 이후 보 설치 구간 주변을 중심으로 급격히 보급됐다.

최 사무처장은 "보 설치 이전에도 영산강 본류에서는 물 부족 문제가 없었다"며 "총량에서만큼은 물이 충분하다고 본다"고 주장했다.

그는 "공도교로서 기능이 필요했다면 금강 공주보처럼 다리만 남기고 철거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며 "영산강 횡구간의 3분의 2를 막는 고정보 구간을 그대로 둔다면 오염원 퇴적으로 인한 환경 악영향이 지속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