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막소독에 사용하는 상당수 약품에서 인체에 해로운 독성물질이 포함됐다는 지적이 나왔다.

부산시의회 복지환경위원회 정명희 의원은 14일 연막소독에 사용하는 약품 259개 종류 가운데 164개에서 유독성 물질이 나왔다고 밝혔다.

정 의원은 "2001년 방역 약품의 유해성 문제가 제기된 이후 국립보건원이 17개 주요 약품의 독성성분을 공개했는데도 부산에서는 아직 이를 사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연막소독에 사용되는 사이페메트린, 델타메트린, 페니트로티온, 에토펜프록스 등은 발암성 물질로 분류된 것으로 장기간 노출되면 신경장애를 일으킬 수도 있다.

연막소독은 약품을 등유에 희석해 고열의 기화점에서 연기가 뿜어나오도록 하는 방식인데 그 과정에서 벤젠과 톨루엔 등 발암물질도 검출되고 있다고 정 의원은 주장했다.

이런 환경문제 등으로 5∼6년 전부터 정화조나 하수구, 물웅덩이 등 분무소독을 하기 어려운 곳에 제한적으로 연막소독을 해야 하는데도 부산시내 곳곳에서 여전히 연막소독이 이뤄지고 있다는 것이다.

유독성 살충제를 사용하지만 연막소독의 효과는 기대할 수 없다는 주장도 나왔다.

정 의원은 "살충효과를 위해서는 해충이 약품에 최소 10초간 접촉해야 하는데 야외 연막 살포는 그렇지 못해 오히려 해충의 약품에 대한 내성만 키우고 있다"고 강조했다.

인체에 해로운 데다 효과도 떨어지는 방역작업을 위해 지난해 부산시는 41억6천만원의 예산을 투입했다.

김희영 부산시 건강체육국장은 "독성물질 사용은 제한하고 연막 소독의 효과에 대해서는 면밀하게 검토한 이후 개선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부산연합뉴스) 박창수 기자 pc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