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우택 "당권보다 대권 도전에 관심 많다"
정우택 새누리당 의원은 15일 “당권(당 대표)과 대권(대선 후보) 중 하나를 고르라면 대권”이라고 말했다. 충북 청주 상당에서 당선돼 4선이 된 정 의원은 이날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충청을 중심으로 한 중부권의 새로운 인물이 영호남 패권주의를 청산하고 사회 통합을 이끌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행정고시 22회 출신으로 해양수산부 장관, 충북지사 등을 지낸 정 의원은 최근 정치권에서 언급되는 ‘충청 대망론’의 중심인물 중 한 사람으로 꼽힌다. 새누리당 차기 대표 후보로도 거론되고 있다.

그는 “국민이 50년 가까운 영남 출신 대통령의 집권에 식상함을 느끼고 있다”며 “국회의원 의석수도 충청이 27석으로 대구·경북(25석)보다 많아지고 호남(28석)과 비슷해지면서 자연스럽게 대망론이 부각되는 것”이라고 해석했다. 또 “과거엔 충청권 사람들이 대통령선거가 다가오면 ‘냅둬유 누군가 되겠지유’ 했는데 요즘엔 ‘우리도 한번 해야지유’ 한다는 우스갯소리도 있다”고 전했다.

그는 대선 주자로서 본인의 장점에 대해 “장관, 도지사, 국회의원을 경험하며 국정 운영에 필요한 기초 체력을 갖췄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 “내년 대선도 국민의 먹고사는 문제가 화두가 될 것”이라며 “경제 관료로 일했고 국회의원이 돼서도 경제 관련 상임위원회에서 활동했다”고 강조했다.

자신의 단점에 대해선 “나만의 뚜렷한 색깔이 없는 것 같다”고 털어놨다. 그러나 “앞으로는 막연한 이미지가 아니라 내용을 갖춘 대통령이 나와야 한다”며 “소위 가정교사에게서 경제를 배운 사람이 아니라 정말 경제를 아는 사람이 지도자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만 “지금은 당이 위기에 처해 있고 쇄신이 우선”이라며 “(대선 출마) 결심은 한참 뒤로 미뤄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충청권 차기 주자 중 한 명으로 반기문 UN 사무총장이 거론되는 것과 관련, “정치를 하겠다면 환영한다”면서도 “어느 당 후보로 나서든 상대 당의 정치 공세를 견뎌낼 수 있을지가 관건”이라고 지적했다. “한때 대선 후보로 거론됐지만 결국 낙마한 고건 전 총리의 전철을 밟는 것 아니냐는 걱정이 있다”고도 했다.

정 의원은 새누리당의 20대 총선 참패와 관련, “총선을 이끈 당 지도부와 진박(진실한 친박) 감별사를 자처하며 공천 파동을 일으킨 사람들은 지금이라도 국민 앞에 나와 진심으로 사과해야 한다”며 “청와대 참모들도 책임을 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총선 책임론을 따지다 보면 당내 갈등이 더 심해질 수 있다는 일부 의견에도 “갈등이 커질 수 있으니 쇄신을 안 하겠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정 의원은 친박(친박근혜)계로 분류되지만 총선 책임론이 화제가 되자 친박 핵심으로 꼽히는 의원들을 “저 사람들”이라고 지칭하며 거리를 두려 했다. 그는 최근 친박 실세로 통하는 최경환 의원에 대해 당권 도전을 포기하고 ‘백의종군’할 것을 요구했다. 그는 “난 누구보다 박근혜 대통령이 성공하길 바란다”면서도 “자기가 대통령과 더 가깝다며 계파 갈등을 일으킨 장본인들을 놔두고 총선 패배가 새누리당 전체의 책임이라는 식으로 넘어가는 것은 비겁한 정치”라고 비판했다.

출범을 앞둔 새누리당 혁신위원회에 대해선 “혁신위가 전권을 갖고 당 쇄신을 이끌어가야 한다”며 “정당 제도와 선거 제도, 정치 문화까지 개선하는 근본적인 혁신안을 마련하기 바란다”고 했다. 이어 “기존 정책을 재탕 삼탕한 것이 총선 패배 원인”이라며 “혁신위는 정책에서도 새로운 비전을 제시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정 의원은 여소야대(與小野大)가 된 20대 국회에서 국정 운영을 원활히 할 수 있는 방안으로 박 대통령과 새누리당 권역별 중진 의원 간 대화를 제안했다. 그는 “당·청 관계부터 새로 정립해야 한다”며 “시·도별 중진 의원들이 대통령과 당을 연결해주는 소통 창구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20대 국회의 과제로는 경제 활성화를 첫손에 꼽았다. 그는 “경제 활성화를 통한 일자리 창출에 힘을 보태라는 것이 20대 총선에서 나타난 민의”라며 “20대 국회는 민생 문제 해결에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19대 국회에서 마무리하지 못한 노동개혁법과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 등을 20대 국회에선 반드시 통과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승호/박종필 기자 ush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