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병상 수 대비 응급환자 가장 많아

생명이 위급한 중증 환자들이 응급실을 찾아도 평균 7시간 가까이 기다려야 정상적인 치료를 받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현상은 서울대병원, 성모병원 등 대형병원일수록 더 심각했다.

또, 응급실 병상 수보다 환자 수가 더 많은 포화 상태 병원도 11곳이나 됐다.

보건복지부가 3일 공개한 '2015년도 응급의료기관 평가 결과'에 따르면 전국 414개 응급의료기관에서 중증 응급환자가 응급실에 머무는 시간(재실시간)은 평균 6.9시간이었다.

중증 응급환자는 사망률이 95%를 넘는 질환으로 응급실을 찾은 환자다.

심각한 상태의 환자가 응급실에 도착하더라도 본격적인 처치를 받기까지 6시간 54분이나 걸린 셈이다.

이는 2014년의 평균 6.3시간과 비교하면 36분이나 더 늘어난 수치다.

중증 응급환자의 응급실 머무는 시간이 가장 긴 병원은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중앙보훈병원으로 수술장이나 병실에 가지 못한 채 응급실에서 23.0시간 머무는 것으로 조사됐다.

인제대 부산백병원(21.2시간), 서울대병원(20.0시간), 전북대병원(18.2시간),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17.9시간) 등 환자가 10시간 이상 응급실에 머문 병원은 총 27곳이었다.

응급실 병상 수에 비해 응급환자가 어느 정도 많은지, 대기 시간이 얼마나 긴지를 나타내는 응급의료기관 과밀화 지수 평가에서는 서울대병원이 182.3%로 가장 높았다.

과밀화 지수가 100%를 넘는 병원에서는 응급실 병상 수에 비해 환자 수가 많다는 의미다.

병상이 부족하면 응급실 내원 환자는 간이침대, 의자, 바닥 등에서 대기해야 한다.

서울대병원 외에도 전북대병원(140.1%), 경북대병원(132.4%),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122.6%), 분당서울대병원(116.8%), 삼성서울병원(111.6%) 등 응급실 과밀화 지수가 100%를 넘는 병원은 총 11곳에 달했다.

평가 대상 전체 응급의료기관의 시설·장비·인력 법정기준(응급 전담의사 1~2명, 전담 간호사 5명 등) 충족률은 전년보다 2.0%p 낮은 81.9%를 기록했다.

2015년 기준으로 법정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기관은 총 75곳으로, 인력 기준에 대한 평가가 강화된 점이 원인으로 추정된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인천(34.6%p), 제주(50.0%p) 지역에서 법정기준 충족률 하락이 커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군(郡) 지역 취약지 지역응급의료기관의 법정기준 충족률은 68.4%로 전년보다 5.0%포인트 개선됐으나 전체 응급의료기관 평균과 비교하면 훨씬 낮았다.

복지부는 평가 결과를 반영해 각 응급 의료기관에 대한 운영비 보조금을 차등지원하고 3년 연속으로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기관은 지정 취소하는 등 강력하게 제재할 방침이다.

다만 응급의료 취약지는 지역 내 다른 응급기관이 없는 때에만 지정 취소를 유예하되 공중보건의 정원을 1명 축소한다.

복지부는 대형병원 응급실 쏠림 현상을 막기 위한 제도 개선도 추진하기로 했다.

응급실에서 24시간을 초과해 체류하는 환자 비율을 일정 수준 이하로 유지하고 이를 위반하면 권역·지역응급센터 및 상급종합병원 지정을 취소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아울러 권역응급센터 및 지역 응급센터 144곳을 대상으로 응급의료기관 평가 결과와 응급의료수가를 연동하는 방안도 2017년부터 시행할 계획이다.

복지부는 "모든 응급의료기관은 평가결과 등을 반영해 3년마다 재지정할 것"이라며 "취약지 등의 부족한 간호인력을 지원하는 시범사업도 올해 실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서울연합뉴스) 김예나 기자 ye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