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7.9%→2014년 9.7%

출산율은 떨어지는데 고위험 임산부는 꾸준히 늘고 있다.

늦은 결혼에 따른 고령 임신에다 시험관 아기 시술로 쌍둥이 등 다태아를 임신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으로 보인다.

고위험 임산부는 산모와 태아가 정상 임신일 때보다 사망이나 질병에 걸릴 위험이 크거나 분만 전후에 합병증이 발병해 상대적으로 의료를 많이 이용함으로써 의료비 부담이 큰 상황에 부닥친 집단을 말한다.

2일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의 '임신 및 출산 지원 강화를 위한 기초조사 연구'(연구원 김승희·임승지·강하렴·최은희·김유리·김아름)를 보면, 건강보험 자료를 이용해 전체 임산부의 의료이용을 분석해 보니, 2011~2014년 전체 임산부는 거의 매년 줄었다.

하지만, 전체 임산부에서 차지하는 고위험 임산부의 비중은 해마다 증가했다.

연도별 추이를 살펴보면, 분석 대상 임산부는 2011년 45만5천737명, 2012년 46만7천511명, 2013년 42만1천439명, 2014년 42만1천775명으로 감소 추세를 보였다.

그렇지만, 고위험 임산부(전체 임산부에서 차지하는 비율)는 2011년 3만5천974명(7.9%), 2012년 3만9천146명(8.4%), 2013년 3만8천140명(9.0%), 2014년 4만1천51명(9.7%) 등으로 증가했다.

연도별 고위험 임산부는 연령이 높아질수록 전체 임산부에서 차지하는 비율도 높아졌다.

2014년 기준 고위험 임산부 중에서 35~39세는 13.9%를, 40세 이상은 15.8%를 차지했다.

임신 유형에 따른 고위험 임산부 현황을 보면, 쌍둥이 등 다태 임산부가 단태 임산부보다 고위험 임산부일 가능성이 컸다.

출산 방법에 따른 고위험 임산부는 제왕절개를 한 임산부가 자연분만을 한 임산부보다 고위험 비율이 더 높았다.

(서울연합뉴스) 서한기 기자 sh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