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용박람회도 못여는 '지·여·인' 대학의 설움
채용박람회도 못여는 '지·여·인' 대학의 설움
9월 하반기 공채 시즌을 앞두고 한국외국어대와 이화여대가 채용박람회를 열지 않기로 했다. 별도 예산을 배정해 매년 행사를 해왔지만 올해는 기업 섭외가 쉽지 않았기 때문이다.

채용박람회는 각 대학이 학생들의 취업을 위해 마련하는 행사다. 많은 기업이 동시에 한 곳에서 채용 정보를 제공하는 행사여서 취업준비생에게 인기가 높다. 하지만 비슷한 시기에 여러 대학이 채용박람회를 열다보니 ‘인기 있는’ 대기업을 섭외하기가 어려워졌다.

이공계 중심의 채용이 이뤄지면서 이른바 ‘지·여·인(지방·여성·인문계)’ 대학들은 채용박람회 개최 자체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지방 국립대인 부산대와 충남대도 이미 수년 전부터 채용박람회를 열지 않고 있다.

반면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등 명문대의 채용박람회에는 매년 수백개 기업이 몰린다. 이들 대학은 기업으로부터 참가비까지 받는다.

◆지방대는 수년째 채용박람회 못 열어

인문계 비율이 높은 한국외국어대는 올해 채용박람회를 포기했다. 한국외국어대 관계자는 “채용박람회를 열려고 했지만 인문계 채용 계획이 없는 기업 인사담당자들이 오기를 꺼려 박람회장의 상담 부스를 채우는 데 애를 먹었다”고 말했다. 지난해 9월 초 이틀간 채용박람회를 열었던 이화여대도 “비용에 비해 실제 채용으로 이어지는 효과가 미미하다고 판단해 올해는 실속형 채용설명회로 전환키로 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국내 주요 대기업이 뽑은 신입사원들의 이공계, 인문계 비중은 8 대 2였다. 삼성전자는 이공계 출신 채용이 85%에 달했다. LG그룹 주요 계열 3사(전자, 화학, 디스플레이)도 인문계 채용 비율이 15%에 불과했다. 아예 인문계 졸업생을 뽑지 않은 기업도 상당수였다.

보통 2~3일 열리는 채용박람회에 들어가는 비용은 대략 5000만~1억원. 많은 대학이 졸업생을 위해 자체 예산을 쓰고 있지만 일부 명문대는 예외다. 이들 대학은 오히려 기업들로부터 참가비를 받는다. 서울대가 지난해 연 채용박람회에는 130여개 기업이 참가했다. 기업당 70만원의 참가비를 낸 것으로 알려졌다. 고려대는 200개 기업으로부터 각각 60만원을 받았다. 연세대는 150개 기업에 하루 참가비용 기준으로 20만원씩을 받았다. 성균관대와 한양대 등도 기업당 10만~20만원을 받고 채용박람회를 연다.

◆취준생 “취업정보 어디서 얻나”

대규모 채용박람회가 막히자 대학들은 발빠르게 ‘실속형 채용설명회’를 열고 있다. 지난 5월 졸업 선배들을 초청해 취업 성공콘서트를 열었던 한국외국어대는 9월 말 용인 글로벌캠퍼스에서 직무박람회를 연다. 해외영업, 마케팅, 회계, 인사, 연구개발 등 분야의 입사 선배들을 초청해 직무와 관련된 실질적인 도움을 준다는 계획이다.

이화여대도 9월 초 여성인재 모임인 ‘윈(WIN)’과 함께 여성인재포럼을 열어 사회 진출을 앞둔 취업준비생에게 멘토링 등을 제공할 계획이다. 국민대는 2년 전부터 대규모 채용박람회 대신 최종 입사까지 연계한 프로그램인 ‘중견·중소기업 현장채용 캠프’를 열고 있다. 박지현 이화여대 커리어경력센터 팀장은 “실질적인 소규모 채용설명회를 수차례 열 계획”이라며 “대규모 채용박람회보다 오히려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채용박람회를 열지 않는 대학의 취업준비생들은 불만이 적지 않다. 하반기 공채를 준비 중인 김경수 씨(28·한국외국어대)는 “같은 등록금을 내고도 채용 정보를 충분히 제공받지 못하는 것 같아 속상하다”고 털어놨다. 또 다른 취업준비생인 박영수 씨(29·경희대)는 “지난해 고려대 채용박람회에 갔다가 본교 학생이 아니라는 이유로 행사장에 들어가지 못했다”고 말했다.

공태윤 기자 true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