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도연 전 교육과학기술부 장관 "정원 감축 등 대학 구조조정, 시장 자율에 맡겨야"
“정부가 대학의 정원감축 문제에 너무 세세하게 관여하는 것이 오히려 대학의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최근 포스텍 이사회에서 차기 총장으로 선임된 김도연 전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사진)은 5일 “정부가 대학 구조조정에 지나치게 깊숙이 관여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오는 9월부터 임기를 시작하는 그는 “대학이 위기를 맞고 있다는 말에는 동감하지만 현재 정부의 대학 구조조정 정책은 지나치게 대학의 자율적인 영역을 없애 오히려 대학에 도움이 되지 못할 것 같아 우려된다”고 설명했다.

김도연 총장 내정자는 “대학 구조조정이 필요한 것이지만 구조조정의 방법은 대학이 스스로 결정해야 하고 시장에서도 학생들의 ‘수요’가 없는 대학은 도태되는 것이 맞다”고 지적했다.

그는 “학령인구 감소로 인해 정원도 다 채우지 못하는 대학이 속출하는 등 대학이 위기를 맞은 것은 확실하기 때문에 대학의 구조조정은 필수”라면서도 “그동안 각 대학이 정원을 늘릴 때 정부 정책에 따른 것이 아니라 시장 수요에 맞춰 늘린 것이기 때문에 정원을 줄일 때도 시장논리에 따라 자율적으로 하는 것이 맞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그는 지방대에 대한 배려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 내정자는 “대학들이 자율적인 경쟁을 통해 생존을 모색하는 것은 맞지만 지방대학이 상대적으로 불리하다”며 “정부는 지방대를 육성하기 위한 대원칙만 세워주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대학이 ‘취업학원’화 되고 있다는 지적에는 “당연하다”고 단언했다.

김 내정자는 “대학의 역할은 교육과 연구이고 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는 사회에 나가서 활동할 수 있는 인재를 기르는 것”이라며 “대학의 학문적 역할이 줄어들고 있다는 지적이 많지만 연구를 하는 사람들보다 취업하는 사람들이 더 많기 때문에 당연히 대학이 가장 신경 써야 할 지표는 취업률이고 대학은 학생들의 취업에 신경을 써야 한다”고 설명했다.

장기적으로 이공계 인재를 성공적으로 육성하기 위해서는 2018학년도부터 시행될 예정인 고교 문·이과 통합 과정이 성공적으로 자리를 잡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문과든 이과든 관계없이 과학기술은 합리적인 사고방식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이기 때문에 어릴 적부터 누구든 반드시 과학을 배워야 한다”면서도 “모든 사람들의 과학적 소양이 높아지는 계기가 돼야 하는데 그렇지 않고 이공계 진학 희망자들의 과학적 지식이 떨어지는 결과가 나올 수도 있다는 점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그는 “교육수준이 어느 정도가 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김 내정자는 경기고와 서울대 재료공학과를 졸업했고 KAIST에서 석사 학위를, 프랑스 블레즈파스칼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무기재료공학 분야 전문가로 200편이 넘는 논문을 발표했고 미국 세라믹학회 펠로를 지냈다.

서울대 공과대학장, 울산대 총장, 한국공학한림원 회장, 교육과학기술부 장관,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초대 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임기훈 기자 shagg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