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애 첫 직장을 1년 이하 계약직으로 시작하는 청년층의 수가 4년만에 60% 가까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금융투자업계와 통계청 등에 따르면 학교 졸업 혹은 중퇴후 처음으로 가진 일자리가 1년 이하 계약직이었던 만 15∼29세 청년의 수는 2012년 기준 80만2천명으로 집계됐다.

2008년 50만5천명보다 59.0%나 늘어난 수다.

반면 계약기간이 1년보다 긴 일자리를 첫 직장으로 잡은 청년은 같은 기간 28만7천명에서 11만6천명으로 59.6% 감소했다.

정규직 등 계약기간이 따로 없이 계속 근무 가능한 직장에 취업한 사람도 285만2천명에서 252만명으로 11.6% 줄었다.

2008년 세계 금융위기 이후 청년층 고용의 질이 급격히 악화하고 있는 셈이다.

성별로는 여성의 첫 일자리가 1년 이하 계약직인 경우가 더 많고, 증가율도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첫 직장이 1년 이하 계약직인 여성 청년의 수는 2008년 28만8천명에서 2012년 46만6천명으로 61.9%의 증가율을 보였다.

같은 조건의 남성은 21만7천명에서 33만7천명으로 55.1% 늘어나는데 그쳤다.

청년층의 취업은 질적으로만이 아니라 양적으로도 후퇴했다.

만 15∼29세 졸업ㆍ중퇴후 취업 유경험자의 총수는 451만3천명에서 402만8천명으로 4년만에 10.8% 감소했다.

직업별로는 사무직을 첫 직장으로 삼은 청년의 수가 21만6천명 줄어 가장 큰 폭의 감소세를 보였고, 관리자ㆍ전문가(12만명), 기능기계조작종사자(6만7천명) 등 순으로 감소폭이 컸다.

서비스ㆍ판매 종사자는 118만1천명에서 116만9천명으로 거의 줄지 않았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현상이 장기화ㆍ고착화할 경우 한국의 성장잠재력을 갉아먹는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아이엠투자증권 임노중 투자전략팀장은 "양질의 일자리가 단기 계약직으로 대체되는 현상"이라면서 "성장잠재력을 깎는 심각한 문제"라고 진단했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경제정책팀 신동엽 간사는 "고용이 불안정해져 소비가 위축되면 경기 전반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면서 "경기 활성화를 위해서라도 정규직 채용을 늘려 소비를 진작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황철환 기자 hwangc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