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최장수' 윤여표 식약청장.."오송 이전 3~4개월 연기"

취임 21개월째를 맞은 윤여표 식품의약품안전청장은 10일 연합뉴스와 인터뷰에서 "보건복지가족부의 요청이 있다면 식약청이 의약품 '리베이트'를 직접 수사할 것"이라고 밝혔다.

윤여표 식약청장은 지난해 3월 취임한 후 '생쥐깡', '멜라민 과자', '석면 탤크' 등 각종 '파동'을 겪으면서도 9명의 역대 청장 중 '최장수' 기록을 세웠다.

위해사범중앙조사단이 신설돼 식약청의 권한도 더 막강해졌다.

윤 청장은 "식약청이 나서서 리베이트 수사를 기획하는 것은 기관의 설립목적에 부합하지 않는다"면서도 "보건복지가족부의 요청에 따라 수사하는 것은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신종인플루엔자에의 효과적 대응'을 최대 현안으로 꼽은 윤 청장은 "효과 있고 안전하면서도 품질이 우수한 백신을 제때 공급하기 위해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다음은 윤 청장과 일문일답.
--역대 최장수 청장이 됐다.

가장 큰 성과는.
▲과거 식약청은 업계 위에 군림하는 기관으로 인식돼 있었다.

체질을 바꾸는 것이 구체적인 정책이나 실적보다 더 중요하다고 봤다.

새 청장이 어떤 일을 해내더라도 떠난 후 원상태로 복귀한다면 무슨 의미가 있나.

취임 이후 수요자 중심으로 조직의 체질을 바꾸기 위해 집중적으로 노력했다.

--실무적인 성과는
▲탤크 파동을 거치면서 국내 제약사들의 수준이 전체적으로 한 단계 올라간 것을 꼽겠다.

당시 각 업체 대표이사급을 불러 조사할 때 비난이 쏟아졌다.

하지만 이제 원료검사를 제대로 하지 않으면 대표가 조사받을 수 있다는 경험 때문에 품질관리에 임하는 자세가 달라졌다.

식품과 의약품의 기준을 해외 기준과 비교해 일제 정비하고 있는 것도 외부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

식약청의 조직과 예산을 키운 것도 기관장으로서 성과다.

지방청의 업무이양으로 24명가량의 정원이 줄었으나 다시 35명이 늘었고 2년 연속 16~17% 예산 규모를 키웠다.

--하지만 탤크 사건 이후 소위 '벽을 허무는 인사'를 한 결과 식약청의 전문성이 약화됐고 이는 국정감사 등에서 그대로 드러났다는 지적이 있다.

▲당시에는 '식약청 안에서 같은 직능끼리 비슷한 과에서 계속 업무를 하면서 '업계와 결탁돼 있다', '폐쇄적이다' 는 등의 외부 비판이 극에 달했다.

조직의 틀을 바꿀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실무 책임자인 과장은 전문성을 살렸기 때문에 업무 추진에 문제가 발행하지는 않았다.

--지난 7월 식약청이 리베이트 정황을 포착했다며 제약사를 압수수색했다.

식약청이 불공정 거래행위를 조사하는 것은 기관의 설립 취지와 맞지 않으며 본연의 업무를 방해한다는 시각도 있다.

▲그런 우려도 일리가 있다.

지난번 리베이트 수사는 도매상을 조사하다가 리베이트 개연성이 인지됐기 때문이다.

식약청이 리베이트 수사를 기획하는 것은 적절치 않지만, 복지부 자체 조사만으로 어려움이 있어 협조를 요청할 경우 수사에 나설 것이다.

--국내 식품안전과 의약품 허가심사의 수준은 꽤 성장했지만, 의약품 부작용 관리 등 약물 안전사용 면에서는 미국 식품의약국과 비교할 때 미흡한 점이 많은데.
▲의약품 시판 후 안전 관리 분야는 취약한 게 사실이다.

식약청이 직접 의약품 하나하나의 이상반응을 상시 분석하고 대처하기에는 어려운 부분이 많다.

앞으로 의약품 부작용 모니터링과 분석을 위해 의약품정보원을 만들기 위해 입법을 추진하고 있다.

--그동안 내년 8월에 오송으로 이전한다고 했다.

계획대로 가나.

▲연기가 불가피하다.

준공이 되기 전인 데다 국정감사도 준비해야 할 시기다.

국감이 끝난 후 11월이나 돼야 이전을 시작할 것 같다.

--올해 남은 기간 식약청이 중점 추진하는 업무는
▲무엇보다 신종인플루엔자 대응에 집중하고 있다.

무엇보다 백신의 심사와 허가, 국가검정 업무가 우선이다.

오송 이전 준비도 본격적으로 하려고 한다.

그동안 식품 이물질, 멜라민, 탤크 등 현안에 대처하느라 발전계획을 세우지 못했다.

2개월 전부터 식약청의 비전을 수립하기 위한 준비 작업으로 외부용역을 실시하고 있다.

올해 안에 식약청의 중장기 비전을 마련하려고 한다.

(서울연합뉴스) 하채림 기자 tre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