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자가 없는 인도네시아의 한 소수민족이 세계 최초로 '한글'을 공식 문자로 채택하고 한글로 표기된 교과서를 만들어 초등학교 및 고등학교에서 교육을 시작했다. 학계는 "언어는 있지만 문자가 없는 인구가 전 세계적으로 10억명 이상"이라며 "한글이 우리나라를 넘어 세계 문자로 도약하는 계기가 마련됐다"고 평가했다.

6일 훈민정음학회(회장 김주원 서울대 언어학과 교수)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술라웨시주(州) 부톤섬 바우바우시(市)는 최근 이 지역 토착어인 찌아찌아어(語)를 표기할 공식 문자로 한글을 선택했다. 이에 따라 시는 지난달 21일 찌아찌아족(族) 밀집지역인 소라올리오 지구의 초등학생 40여명에게 한글로 된 찌아찌아어 교과서를 나눠주고 주 4시간씩 수업을 시작했다. 시는 또 인근 제6고등학교에 다니는 학생 140여명에게 매주 8시간씩 한국어 초급 교재로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다.

인구 6만여명의 소수민족인 찌아찌아족은 자신들의 언어를 갖고 있지만 말을 표기할 문자가 없어 고유어인 찌아찌아어를 잃을 위기에 처해 있었다. 이를 알게 된 훈민정음학회 관계자들이 바우바우시를 찾아가 작년 7월 한글 보급에 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으며 학회가 이들을 위한 교과서를 제작해 보급했다. 바우바우시는 오는 9월 소라올리오 지구에 '한국센터' 건물을 착공하는 한편 한글과 한국어 교사를 양성해 한글 교육을 다른 지역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또 지역 표지판에 로마자와 함께 한글을 병기하고 한글로 역사서와 민담집 등을 출간하는 방안도 추진 중이다.

이번에 찌아찌아족 학생들에게 보급된 '바하사 찌아찌아1'이란 제목의 교과서는 '부리'(쓰기)와 '뽀가우'(말하기),'바짜안'(읽기) 등 세 부분으로 구성돼 있으며 모든 글자가 한글로 표기돼 있다. 교과서에는 찌아찌아족의 언어와 문화,부톤섬의 역사와 사회,지역,전통,설화 등의 내용과 함께 한국 전래동화인 '토끼전'도 수록됐다. 찌아찌아족이 쓰게 될 한글은 우리가 쓰는 자음과 모음이 그대로 사용되지만 모음은 5개만 사용되며 15세기에 사라진 '순경음 비읍(ㅸ)'을 쓰는 점 등이 다르다.

교과서 제작을 주도한 이호영 서울대 언어학과 교수는 "소수민족의 언어는 제대로 된 교육 시스템이 없어 100년도 안 돼 대부분 사멸하고 만다"며 "이제 찌아찌아족들의 일상생활에 한글이 얼마나 녹아들 수 있을지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이 교수는 "서울대에서 수학하고 돌아간 찌아찌아족 전 족장의 아들 아비딘씨가 고향 마을에서 한글 교사로 활동하고 있는데 교사가 아비딘씨 한 명뿐이어서 앞으로 한글을 가르칠 교사 육성이 시급하다"고 덧붙였다.

한글 학계는 예전에도 중국이나 태국,네팔 등 오지의 소수민족에게 비공식적으로 한글을 전파하려고 시도했지만 성공하지 못했다. 이 교수는 "중국 헤이룽강 유역의 소수민족인 오로첸족(族)에게 한글을 전파하려 했지만 체계적인 교과서 없이 비공식적으로 하다보니 모두 실패하거나 제대로 된 성과를 올리지 못했다"며 "한글을 배우려는 외국인들이 늘어나는 만큼 정부의 적극적인 노력이 함께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이번 사례를 계기로 한글 세계화에 박차를 가하기로 했다. 정부는 문화체육관광부,교육과학기술부 등 부처나 기관별로 운영 중인 한글 관련 사이트와 연계해 한국어 교재와 교육 콘텐츠를 제공하고 2012년까지 한국어 e-러닝 및 원격교육 시스템을 구축하기로 했다. 또 내년까지 한글학교,세종학당,한국교육원,한국문화원 등의 명칭을 단일 브랜드인 '세종학당(King Sejong Institute)'으로 통합하고, 현재 17개인 해외 세종학당을 2012년까지 60개로 확대하기로 했다.

현재 한국어를 제2외국어로 채택한 국가는 미국 호주 일본 프랑스 브라질 파라과이 우즈베키스탄 등 7개국이다. 교포나 외국인 등을 대상으로 지난 4월 실시한 제15회 한국어능력시험에는 전 세계 25개국,97개 지역에서 3만4598명이 응시해 1997년 첫 시험(4개국,14개 지역에서 총 2274명) 때보다 10배 이상 증가했다.

김일규 기자 black0419@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