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노동조합원의 수는 전체 대상 임금근로자 10명 중 1명꼴인 총 166만6천명으로 조사됐다.

노동부는 각 노조가 관할 노동청에 제출한 작년 조직현황자료를 한국노동연구원에 의뢰해 분석한 결과, 노조 조직률이 10.5%로 집계됐다고 17일 밝혔다.

노조 조직률은 전체 임금근로자에서 노조 가입이 금지되는 업무의 공무원이나 교원을 제외한 조직대상 근로자 가운데 조합원이 차지하는 비율로, 2007년 10.8%에서 지난해 0.3%포인트 떨어졌다.

민간부문 조직률은 2007년 9.2%에서 작년 8.8%로 떨어져 감소세를 이어갔고, 교원도 21.5%로 2007년보다 2.8%포인트 줄었다.

그러나 공무원은 75.3%로 2007년보다 8.2%포인트 증가했다.

노동부 관계자는 "민간 부문 조직률의 하락 원인은 주된 조직화 대상인 대기업과 제조업에서 근로자 수가 정체되거나 감소하는 데 있다"며 "외국에서도 마찬가지 이유로 조직률이 떨어지고 있어 세계적 추세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교원 조직률 하락은 전교조 조합원 수가 줄었기 때문이다"라며 "20대 교원이 가입대상의 25.2%를 차지하지만 노조 가입률은 6.4%에 불과하다.

전교조 투쟁방식에 대한 사회적 비판여론이 확산한 탓에 조직률이 하락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한국노총 소속 조합원은 전체 조합원의 43.5%인 72만5천14명으로, 민주노총의 65만8천118명(39.5%)보다 많았다.

상급단체를 두지 않은 노조의 조합원은 28만2천666명(17%)이었다.

화물연대와 건설노조 건설기계분과 등에 소속된 특수고용직 노동자들은 조합원 집계에서 제외됐다.

한국노총은 2007년보다 조합원 수가 2.1% 감소했고 민주노총은 2008년보다 3.6% 줄어드는 등 2003년 이래 감소 추세가 이어진 반면 미가맹 노조의 조합원은 2007년보다 6.6%(1만7천610명) 증가했다.

종업원 300명 이상 기업의 조직률은 45.4%로 조사돼 대기업에서 노조가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노조 조직률은 1989년 19.8%를 정점으로 1997∼2001년 12%대, 2002∼2003년 11%대, 2004년 이후 10%대로 하락 추세를 보이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장재은 기자 jangj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