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서울로 출퇴근하는 고양시민들은 해마다 여름철만 되면 자유로 행주대교-가양대교 구간을 지날 때마다 심한 악취에 시달린다.

서울시가 운영하는 난지물재생센터(하수처리장)가 자유로 인근 고양시 현천동에 들어서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서울시는 최근 물재생센터 4곳에 대한 지하화 등 현대화사업을 추진하면서 난지물재생센터의 지하화 예산을 책정하지 않았다.

경기도의회 주민기피시설대책특별위원회는 25일 서울시 주민기피시설로 인한 주민들의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서울시의회에 주민기피시설 대책 공동위원회 구성을 요구하는 내용의 제안서를 보내기로 의결했다.

특위는 다음달 초 서울시의회를 방문해 제안서를 전달하고 앞으로 피해사례 파악, 지역 주민 지원 방안 등에 대한 협조를 요청할 방침이다.

손범규 국회의원(고양 덕양갑)도 오는 27일 국회에서 서울시설관리공단, 보건복지부, 경기도 제2청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벽제화장터(서울시립승화원) 시립묘지와 주민복지 향상을 위한 정책간담회'를 열고 서울시의 주민지원대책 마련을 촉구할 계획이다.

앞서 고양시의회는 서울시립승화원의 외지인 사용료를 현실화해 수익의 40%를 고양시 고양동.원신동 주민들에게 돌려줘 지역 현안 사업비로 사용할 수 있게 해달라고 서울시에 요구한 바 있다.

특위 정문식 위원장(한.고양3)은 "서울시는 1963년 서울시립승화원 설립을 시작으로 당시 도시화가 덜 된 경기도에 주민기피시설을 임의로 설립해 주민들의 불만이 고조되고 있다"며 "서울시는 이 같은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체계적인 주민지원책 마련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현재 서울시가 관리.운영하는 경기도내 광역주민기피시설은 모두 44곳이며 이 가운데 고양시가 11곳으로 가장 많고 파주시 10곳, 광주시 6곳 등이다.

(고양연합뉴스) 김세영 기자 thedopest@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