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남자 근로자의 실질퇴직연령은 68세로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국가 가운데 네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한국노동연구원(원장 이원덕)에 따르면 OECD가 지난 97년부터 작년까지 30개 회원국의 남자 근로자의 실질퇴직연령을 추계한 결과 한국은 68세로 멕시코(74세)와 일본(70세), 아이슬란드(70세)에 이어 네번째로 높았다. 실질퇴직연령은 40세이상 근로자가 일을 그만두는 평균 연령치를 말한다. 우리나라의 남자 근로자의 실질퇴직연령이 높은 것은 국민연금 등 퇴직후 사회보장제도가 제대로 정착되지 못하면서 나이가 들어도 생계 등을 위해 단순직이나 임시직 등 에서 지속적으로 일을 해야 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연금총액을 받을 수 있는 자격을 갖추게 되는 연령인 공식 퇴직 나이의 경우 한국은 60세로 그리이스에 이어 두번째로 낮았다. 또한 우리나라 여성 근로자의 실질퇴직연령은 67세로 아이슬란드와 멕시코에 이어 세번째로 높았다. 여자의 공식 퇴직연령은 60세로 슬로바키아와 그리이스, 터키 등에 이어 낮은수준을 나타냈다. 지난 2000년을 기준으로 한 50∼64세 인구의 고용비율을 보면 우리나라는 62.6%로 영국(62.2%)과 스페인(47.1%), 벨기에(40.9%) 등 을 웃돌았지만 복지제도가 성공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스위스(74.2%)와 스웨덴(71.1%)에 비해서는 낮았다. 이와함께 전체 인구 대비 50∼64세 남성 근로자 비율은 78%로 아이슬란드와 멕시코, 체코, 일본, 뉴질랜드에 이어 4위를 차지했다. 또한 우리나라의 총인구 대비 50∼64세 여성 근로자 비율은 50%로 12위를 나타냈다. 25∼49세 한국 남자가 직업을 갖고 있는 비율도 12번째로 높았다. 수위는 멕시코가 차지했고 아이슬란드가 그 뒤를 따랐다. 반면 우리나라의 25∼49세 여성 취업률은 터키와 멕시코, 이탈리아, 스페인, 그리스에 이어 여섯번째로 낮은 수준이었다. (서울=연합뉴스) 전준상 기자 chunj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