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 산하 국립해양유물전시관은 최근 전북군산시 옥도면 '십이동파도 안품' 근해에서 고려시대의 생활용 청자 다량과 침몰된 선박 잔해를 해저 16m 지점(만조시 20m)에서 확인했다고 10일 공식 발표했다. 조사단은 현재까지 인양 혹은 수습신고된 유물은 청자류 1천200여 점이지만 침몰된 고려시대 선박 안에는 다량의 청자가 포개진 상태로 줄지어 선적돼 있으며 층을 이뤄 겹겹이 쌓여 있어 정확한 유물 출토량은 현재로서는 가늠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이 유물을 감정한 윤용이 명지대 교수는 "이들 청자는 대개 무늬가 없으며 관청등지에서 밥그릇이나 국그릇, 반찬접시나 찻잔 등으로 사용한 '생활용'이 대부분"이라고 말했다. 윤 교수는 이들 청자류가 제작된 시기와 장소에 대해 "1991년 목포대박물관이조사한 바 있는 전남 해남군 산이면 진산리 일대 고려가마터 출토품과 비슷해 11세기말-12세기 초반 해남에서 제작됐을 것"으로 추정했다. 이러한 견해에 따른다면 이 선박은 해남산 청자류를 서해안 연안을 따라 운반하다 침몰했을 것으로 보인다. 이와 비슷한 생활용 고려청자 유물은 완도 해저에서 3만6천여 점(11세기초), 최근의 서해 비안도 해저에서 3천100여 점(12세기경)이 확인된 바 있다. 해저에서 확인된 침몰선박은 현재 선체 외판과 선수(船首) 혹은 선미(船尾)로추정되는 판재 구조물이 발견됐다. 고려시대 선박유물은 완도선(11세기)과 달리도선(14세기)에 이어 세 번째가 되며, 이에 따라 한반도 전통 한선(韓船)의 발달과정을 밝히는 획기적인 자료가 될 전망이다. 조사단은 유물이 매장, 출토되는 상태로 보아 선체는 전복되지 않고 바로 가라앉은 것으로 추정했다. 전반적인 선박 상태나 구조 및 크기에 대해 조사단은 "일단 유물을 수습 인양하고 난 다음에 실시될 본격 발굴을 기다려야 한다"면서 "다만 현재까지 침몰 선박을 중심으로 유물이 집중 출토되는 해역은 동서 10m, 폭 6m 정도"라고 설명했다. 이 침몰선박에 대한 긴급탐사 결과 지금까지 막연하게 추측되던 도자기 포장방법을 확인할 수 있었던 것은 해양유물조사 사상 획기적인 일로 평가되고 있다. 선박안의 도자기들은 짚이나 갈대 잎으로 보이는 재료를 사이에 두고 포개져 있었으며 또 도자기 줄과 줄 사이에는 나무를 일정한 크기로 잘라 쐐기와 같은 기능을 하게 함으로써 깨짐을 방지한 것으로 밝혀졌다. 문화재청 최맹식 매장문화재과장은 "이번 달 중으로 20-30일이 소요될 본격 발굴에 들어가 유물 인양에 나설 예정"이라면서 "선체 인양은 겨울철이 다가오는 기후적 특성을 고려해 내년에 3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실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문화재청은 선박 발견 반경 1㎞ 해역을 지난 4일 사적으로 가지정했다. 이번 침몰선박 발견은 어로작업 중 지난달 고려청자 600여 점이 수습됨으로써 실시된 긴급탐사 조사결과에 따른 것이다. (서울=연합뉴스) 김태식 기자 taeshik@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