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오버도퍼 존스 홉킨스대 교수는 16일 "지난반세기동안 한반도에서 벌어지는 변화무쌍한 사건들을 죽 지켜봐 왔지만 최근 북핵문제로 빚어진 상황처럼 우려를 가진 적은 없었다"고 말했다. 오버도퍼 교수는 이날 민화협이 6.15남북공동선언 3주년을 맞아 성균관대 600주년 기념관에서 개최한 국제학술회의에서 '북핵문제와 동북아 평화체제 구축'을 주제로 한 기조연설을 통해 이같이 말하고 남북한을 비롯한 모든 동서진영 국가들이한반도에서의 새로운 전쟁을 막기 위해 "자제심과 정치력을 발휘해 행동할 것"을 촉구했다. 그는 또 미국의 대북정책 실무진들이 북핵문제 해결을 둘러싸고 강온파 등 여러가지 의견으로 갈라져 있지만, 설사 온건한 의견이라 할지라도 참여 정부의 대북정책에 비해서는 훨씬 `적대적'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노 대통령의 방미는 양국의 당면과제를 의논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양측이 서로 생산적으로 일할 수 있다고 확신하는데 도움이 됐으나 북한에 대한 서로 다른 인식, 대북정책 등 중점 문제를 솔직히 의논하는 자리는 아니었다"고 설명했다. 다음은 국제학술회의 기조연설 및 발제문 요지. ▲홍현익 세종연구소 안보연구실장= 북핵위기는 군사적 문제라기보다 정치.외교적 성격이 강하다. 한국이나 중국, 러시아 등 관련국들이 중재나 신뢰회복 조치 등을 잘 강구해 실현하고 북미 양국이 문제를 평화적으로 해결하겠다는 의지를 갖고있다면 외교적 해결이 충분히 가능하다. 한국정부는 무엇보다 북한의 남침과 도발을억지하고 모든 형태의 전쟁 가능성을 차단하는 가운데 북핵위기를 평화적.외교적으로 해결해야 한다. 또 쿠데타.민중봉기.대량난민발생 등 북한내 급변사태 발생에 대비하며, 남북경협이 북핵문제 해결에 긍정적으로 기능하도록 유의해야 한다. 북한주민들을 기아로부터 구제하고 북한정권의 인권침해 행위를 최대한 견제하며, 6.25국군포로나 납북자들의 조기송환과 이산가족 상봉의 제도화에 매진해야 한다. ▲카렌 아스트릿 텔봇 전 유엔인권위원= 단순한 전쟁개시를 위한 변명으로 대량살상 무기를 비난하는 것을 거부해야 한다. 한반도 전쟁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미국은 즉시 북한과 협상을 재개해야 한다. 또 핵무기 위협이나 사용을 금하고 있는제네바기본합의서를 다시 이행하고 불가침조약을 받아들여 한반도 긴장을 완화시켜야 한다. 6.15공동선언문의 완전 이행을 염원하는 한국인들의 의지를 존중하고 이를한반도에서 평화.화해.통일을 달성하는 지도로 삼아야 한다. ▲조셉 거슨 평화경제안전프로그램 의장= 만약 미국이 북한과 성실히 대화에 임하길 거부한다면, 북한은 완전한 핵보유국이 될 것이다. 그렇게 되면 동북아지역이더욱 불안정해지고 위험에 빠지게 되며, 지역적으로 그리고 국제적으로 핵확산의 움직임이 가중될 것이다. 미국인들에게 남북한에 대해, 최근 위기의 근본원인 및 위험에 대해 가르쳐주는 것 역시 시급한 사안임과 동시에 중요한 사안이다. ▲라이너 베르닝 독일코리아정보센터 소장= 김대중 대통령의 햇볕정책은 다소위태로운 정치적 환경과 북한의 불안정한 상황들을 고려했을 때 전혀 생각지도 못했을 뿐더러, 성공의 여지가 없었다. 한국의 가장 가까운 동맹국인 미국의 변덕스러운외교 때문이었다. ▲이정옥 대구 카톨릭대 교수= 한반도의 화해와 통일을 인권과 민주주의라는 보편가치의 틀안에서 말하지 않으면 국제공조를 얻어낼 소통의 도구를 잃는 것이나 다름없다. 특히 민족주의를 통해 남남연대의 강화와 남북연대를 강화하려는 방향은 설사 그 내용이 정당하다고 해도 국제적인 공조를 얻기 어렵다. 사용하는 용어가 다르고 민족주의라는 단어에 부여하는 의미가 다르기 때문이다. ▲강만길 상지대 총장= 경제적으로 극도의 봉쇄를 당하고 있는 한편 군사적으로계속 공격위협을 받고 있는 북한이 핵무장을 하려 한다면 그것은 침략목적보다 체제보호 목적이 앞섰다고 할 수밖에 없다. 북핵문제를 해결하는 올바른 길은 미국 등자본주의 열강이 북한체제를 보장해주는 일이 앞서야 할 것이다. (서울=연합뉴스) 최선영기자 chsy@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