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노인이 해가 갈수록 급증하고 있으나 치매 환자를 치료하거나 보호할 시설은 턱없이 부족하다. 이로 인해 치매에 걸린 환자들이 보호를 받으면서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치매 환자를 둔 보호자들도 마땅한 치료소를 찾지 못해 헤매기 일쑤며 비싼 치료비 때문에 치매환자를 그냥 집에 방치하고 있는 가정도 많다. 치매 환자들이 치료 기관에서 치료를 제때 받지 못한다면 증상이 더 악화되지만 치매를 조기에 발견해 치료를 한다면 치매 증세를 멈추게 할 수 있고 호전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치매의 조기발견과 중증 치매노인을 위한 전문병원 치매요양시설 등의 확충이 시급하다. ◆ 치매 노인 증가 =보건복지부는 65세 이상 노인 가운데 치매 증상을 보이는 비율(치매 출현율)이 계속 증가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현재 65세 이상 노인의 치매 발생률은 8.3%. 오는 2010년에는 치매 발생률이 8.6%로 높아지고 2015년에는 9.0%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치매 노인도 따라서 증가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올 3월말 기준 국내 치매 노인 수는 32만9천여명으로 추정된다. 오는 2005년에서는 35만1천명, 2010년 43만4천명, 2020년 61만9천명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 문제점 =치매에 대한 부정적인 사회 인식이 가장 큰 문제다. 치매는 정상적인 노화과정의 하나로 불치병이 아니라는 사고의 변화가 필요하다. 인간의 삶과 죽음의 한과정에서 나타나는 자연스런 현상으로 이해하고 받아들여야 한다는게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다만 그 정도가 지나칠 경우 주변 가족들만의 힘으로 감당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사회 구성원 모두가 관심을 가져야 한다. 정부도 이런 점을 감안해 시설을 늘리고 치매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에 나서고 있다. 그러나 치매치료병원이나 요양센터를 혐오시설로 받아들이는 경우가 종종 있다. 한 관계자는 "누구라도 치매에 걸릴 수 있다는 것을 받아들여야 한다"며 "치매관련 시설 확충을 위한 국가 및 지역사회의 지원시스템 구축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가정에서 가족과 함께 생활하는 경증 치매환자 등을 위한 재가복지시설도 수요에 크게 못미치고 있다. 현재 대상 노인의 5%만이 이 서비스를 받고 있을 뿐이다. 시설보호가 필요한 중증 치매 노인(7만7천명)에 비해 치매전문병원 및 요양시설의 수용능력이 중증 치매 환자의 30% 수준에 불과한 실정이다. ◆ 대책 및 보호시설 확충 =치매 노인은 우선적으로 정확한 진단을 통해 그 원인을 파악해야 한다. 그 다음 증상 조절을 통해 환자와 주위 수발자 등의 안전을 확보하고 치매 노인의 삶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치매 노인의 상태 및 환자 보호자 유무 등 환경여건에 따라 여러가지 시설을 활용할 수 있다. 가족.가정봉사원 또는 간병인 등 수발을 받아 가족과 함께 지내는 방법이 있다. 주간 및 단기보호시설을 이용하거나 지역내 복지관 재활프로그램도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치매노인을 치료하거나 보호하는 시설은 치매환자 수에 비해 부족하다. 이에 따라 정부는 65세가 넘는 노인의 2%를 보호 시설에 수용한다는 목표로 오는 2011년까지 치매전문요양시설 등 필요 시설을 단계적으로 확충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지난달 홍성에 치매요양병원이 문을 연 것을 시작으로 올 한햇동안 4개의 공립치매요양 병원이 들어설 예정이다. 김문권 기자 mk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