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벌이 없어져야만 이로인한 차별이 사라지고 지방의 인재들도 고향에 남아 지역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22일 오후 연세대 장기원기념관에선 전교조와 참교육을 위한 전국학부모회, 학벌없는 사회 등 교육사회단체 대표들이 모여 학벌을 타파하고 지역인재를 키워 지방을 활성화시키는 방안을 놓고 열띤 토론을 벌였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학벌 타파의 핵심으로 서울대 개혁문제가 가장 중요한 쟁점으로 떠올랐다. 홍 훈 학벌없는 사회 공동대표는 "한국사회에서 학벌은 일종의 병리현상으로 이제는 거의 종교화 되어가고 있다"며 "대학입시가 그 정점에 서있는 학벌은 교육과는 상관없이 결국 신분제를 형성하고 말았다"고 비판했다. 그는 "서울대 개혁없는 교육개혁은 없으며 서울대가 공교육 파행의 중심에 자리잡고 있다"고 지적하고 그 대안으로 서울대 학부개방, 대학원중심으로 개편, 지역인재할당제 실시, 수능시험의 자격고시화, 대학입학전형 대학일임 등을 내놓았다. '지역인재 할당제'는 학벌을 없애 인재의 수도권 집중을 막고 낙후된 지방을 발전시키는 효과적인 방안으로 거론됐다. 박찬석 전 경북대총장은 수도권 과부화의 가장 큰 원인으로 교육과 인재의 집중을 들고 이에 따라 "서울소재 대학들만 우수인재를 독과점 해왔으며 부와 명성을 축적하는 악순환이 계속됐다"고 지적했다. 반면 "지방대학은 인적자원의 부족으로 쇠퇴를 거듭했으며 이는 지방 낙후로 이어져 지방기업은 몰락하고 땅값은 떨어져 독자적인 발전방향의 축을 찾지 못한 채 서울 의존적, 종속적인 형태로 변하고 말았다"고 박 총장은 비판했다. 그 대책으로는 사법시험, 행정고시, 외무고시, 기술고시, 공인회계사 등 국가가 시행하는 각종 고시나 자격시험을 지역의 인구비례로 지방출신을 합격시키는 인재지역할당제를 실시하고 이를 법률화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으며 '국가 인재의 지역간 균등등용을 위한 촉진법안' 등이 그 예로 제시되기도 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이수일 전교조 참교육 연구소장, 박경양 참교육을 위한 전국학부모회 회장, 엄기형 민주당 정책보좌역 등도 토론자로 나서 학벌타파에 관한 다양한 의견을 내놓았다. (서울=연합뉴스) 여운창 기자 betty@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