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온난화 현상으로 오는 2100년에는 해수면이 1m 가량 상승해 남북을 합쳐 전체 면적의 약 1.2% 정도가 침수될 것이라는 관측 결과가 나왔다. 환경정책평가연구원의 조광우 박사는 최근 발표한 `지구 온난화에 따른 한반도 주변의 해수면 변화와 그 영향에 관한 연구'에서 태풍과 해일 등을 고려할 때 2100년이면 한반도 최대 범람가능면적이 2천643㎢에 달한다고 밝혔다. 이는 한반도의 1.2%, 여의도의 300배가 넘는 면적으로, 남북 전체인구의 2.6%인125만5천명이 터전을 잃을 것으로 예측됐다. 조 박사는 남해안과 동해안보다는 서해안이 훨씬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고 서해안 중에서도 북한 지역의 범람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특히 "온실가스 감축을 통해 해수면 상승을 어느 정도 감소시킬 수 있겠지만 피할 수는 없을 것"이라면서 "인구가 밀집한 군산과 목포 일부 지역, 아산만 일대와북한의 남포.신의주 일대가 침수 예상지역에 포함됐다"고 설명했다. 조 박사는 이어 "우리나라의 경우 지구온난화의 영향에 대한 전담체제가 결여돼 있고 전문인력도 부족한 것은 물론 효율적인 대책 수립도 미비하다"면서 "해수면 상승과 관련한 과학정보기술을 증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 연구원의 전성우 박사도 "시뮬레이션 예측 결과 2100년까지 한반도의 기온이2.5∼3℃ 상승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면서 "대구 북부와 구미, 김천, 팔공산 도립공원과 가야산 국립공원 부근, 북한의 평양 일대가 사실상의 사막으로 변해갈 것"이라고 예상했다. 전 박사는 `기후변화에 따른 생태계 영향평가 및 대응방안 연구'에서 "기초자료의 지속적인 확보와 공동활용을 위한 국토환경정보센터의 신설이 필요하며 국립공원관리공단과 산림청 등 생태계 관련 조사기관이 협조해 지속적인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서울=연합뉴스) 심규석기자 k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