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김승권 인구가족팀장은 24일 여성부 주최 '저출산수준 지속화에 따른 21세기 여성정책 방향' 토론회에서 "출산수준 추가저하의 방지 또는 지연을 위한 다양한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팀장은 이날 매일경제신문 사옥에서 열린 토론회에서 '저출산 시대의 여성정책 방향'이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지난 1984년 인구의 증감이 없는 '인구대체' 수준에 도달한 이후 출산율이 지속적으로 하락한 탓에 향후 노동력 부족과 노령인구 비율 급증 등 사회현상의 급속한 변화가 예상된다"며 이같이 말했다. 작년 우리 나라의 출산율(가임기간 여성 1명의 평균 출생아 숫자)은 1.47명으로 90년 1.59명에 비해 크게 떨어진 것이며 선진국중에서도 낮은 편에 속한다. 김 팀장은 "우리 사회가 급격한 출산율 변화는 없을 전망이나 미혼여성의 결혼 연령 상승과 결혼 적령기를 넘긴 여성의 증가 등은 출산율 하락을 초래할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지속적 출산수준의 하락에 따른 인구 고령화와 노동력 부족, 경제침체 등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직접적 정책수단의 강구보다는 여성.아동.가족정책 등 다른 정책목표들과의 통합과 균형을 고려한 정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박상태 한국인구학회 회장은 "출산율이 4분의 1로 떨어질 경우 60세 이상 노년인구의 비율은 4배 이상 증가하며, 인구의 노령화는 부양비를 증가시켜 생활수준의 향상을 저해한다"며 출산율 회복의 필요성을 개진했다. 신혜수 한국여성단체연합 공동대표는 "자녀양육의 부담이 여성에게만 지워져서는 저출산을 피할 수 없다"며 보육시설의 다양화, 육아휴직 급여의 인상,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에 대한 정책 수립 등을 주장했다. 김태홍 한국여성개발원 수석연구위원은 저출산율 시기의 여성고용 정책과 관련, 가정과 직장의 병존체제 구축, 여성인력의 주력 노동력화, 여성노인의 사회참여화 등 정책과제를 제안했다. (서울=연합뉴스) 신지홍 기자 shi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