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생활공간의 공기오염 물질 가운데 절반은 관리기준조차 마련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서울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의 백도명 교수는 16일 세종문화회관 컨퍼런스홀에서열린 녹색연합 주최 지하환경개선시민모임 토론회에서 '실내 공기질과 건강영향'을 제목으로 주제발표했다. 백교수는 토론회에서 "환경부의 지하생활공기질관리법 시행규칙은 지하생활 오염물질로 먼지, 황산화물, 일산화탄소, 질소산화물, 포름알데히드, 석면, 라돈, 카드뮴, 크롬, 비소, 구리, 납, 수은 등 14종을 제시하고 있다"면서 "그러나 이들중 관리기준이 정해진 것은 7가지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백교수는 "독성이 강한 석면과 라돈, 크롬 등의 발암물질, 비소, 구리, 수은 등은 아직 기준이 마련되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백교수는 또 "영국의 자료에 따르면 대기오염, 특히 미세분진으로 가장 오염된 도시에 거주한 주민의 사망률은 오염되지 않은 도시지역 주민의 사망률에 비해 17~26% 증가한다"면서 "특히 호흡기계 질환과 심혈관계 질환에 의한 사망의 증가가 보고됐다"고 말했다. 백교수는 "현재 일반 건물에서 근무하는 노동자가 실내공기오염으로 문제가 생겼을 경우 담당부처조차 없는 상황"이라면서 "실내 공기질을 담당하는 부처를 지정해 집중 관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주종국기자 satw@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