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농민의 작물을 직접 가져다 시민들에 공급하는 농산물직거래장이
소비자들로부터 외면받고 있다.

이는 취급 품목이 한정돼 있고 가격도 인근 할인점에 비해 오히려
비싼데다 품질에 대한 신뢰도 얻지 못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3일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 4월까지 지방 시.군이나 농협 새마을지도자
협의회 농민후계자 등이 서울시 자치단체와 자매결연을 맺고 개설한
상설판매장은 모두 78개소 연간 매출액은 6백12억원 정도다.

그러나 경북도청이 서초구 잠원동에 운영하는 우리농산물직매장 등 일부
매장을 제외하면 농협이나 지방정부의 도움 없이 운영이 곤란한 상태다.

지난 3월에만 광진구 능동의 경기도 이천농협 직판장과 노원구 상계8동의
충남 연기군 농민후계자 직거래장이 문을 닫는 등 지난해부터 모두 8개소가
철수했다.

양천구 목동 이태희씨는 "믿을 수 있는 농산물이라지만 잡곡류 등으로
품목이 한정돼 있어 이용하기 불편할 뿐 아니라 가격도 대형할인점에 비해
상당히 비싼편"이라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일부 악덕상인들이 아파트단지내의 이벤트성 지방장터에서
도매시장의 물건을 내놓고 있는 것도 문제로 꼽히고 있다.

성북구 월곡1동 영월농협직매장 이형규(45)씨는 "일부 지방장터의
농산물 중에는 도매상에서 떼어다가 파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안다"며
당국의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함을 역설했다.

서울시 농수산유통과 신장하씨는 "지난해부터 시유지 등을 무료로
제공하는 등 도.농간 자매결연과 직거래사업을 강화토록 하고 있다"며
"소비자들에게도 우리 농산물이 우리 건강에 좋고 농촌살리기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적극 홍보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 김주영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6월 4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