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대의 중소기업단지인 인천남동공단이 업체들이 배출하는 폐기물로
몸살을 앓고 있다.

폐기물처리가 제때 이뤄지지않아 공장마다 일반폐기물과 지정폐기물이
눈덩이처럼 쌓여있는 실정이다.

모두 2천여개의 중소기업이 입주해있는 남동공단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은
지정폐기물과 일반폐기물을 포함, 하루 6백5t 정도.

구청에 배출신고를 해야하는 폐기물 대량발생 사업장만도 지정폐기물의
경우 1백80개, 일반폐기물 1백20개 등 모두 3백개업체에 달한다.

2천여개 업체중 자체소각로를 갖추고 소각처리를 하는 곳은 4백40개업체에
불과하다.

이들 업체들은 1천만-3천만원을 들여 자체 소각로를 건설해 운영하고
있으나 원심력을 이용한 원시적 집진시설에 불과해 오히려 공단의 환경
오염을 가속화시키고 있다는 것.

또 폐유중금속 폐수 슬러지 등 소각할 수 없는 지정폐기물 발생업체는
전문처리 업체에 위탁처리하고 있는 실정이다.

위탁처리의 경우 제때 처리되지않는 경우가 많아 업체들은 자체부담으로
보관시설까지 설치하고 폐기물을 쌓아두고 있다.

또 폐기물처리 비용이 지나치게 높은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일반폐기물의 경우 t당 30만원의 비용이 소요돼 업체당 한달 평균 3천만-
5천만원의 쓰레기 처리비용을 부담하고 있다.

이처럼 처리비용이 높은 것은 주변에 대형 소각장이 없어 운송비와 2차
처리비용 등 갖가지 부대비용이 들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지정폐기물의 경우 문제는 더욱 심각하다.

도금 및 금속가공업체들은 슬러지와 중금속 폐유를 위탁처리하고 있는데
정부기관인 환경관리공단에 위탁할 경우 t당 5만-11만원을 부담하고 있고
일반처리업체에 맡길 경우 18만원의 비용을 내고 있다.

공단내 도금업체 협동단지인 일진단지의 경우 월평균 2백t의 폐기물이
발행, 처리비용만도 2억원이상이 들고 있다.

이는 업체들의 월간 매출량과 맞먹는 비용이다.

도금업체의 한 관계자는 "지정폐기물을 거리가 먼 화성사업소까지 운송해
처리해야 하고 처리단계가 복잡해 필요이상의 비용을 부담하고 있다"고
불평했다.

이에따라 남동공단에서 발생하는 일반폐기물을 모아 한꺼번에 소각할 수
있는 중앙집중식 대형 소각장 건설이 시급하다는게 업계의 공통된 주장이다.

업계들은 그 대안으로 남동공단 부근인 고잔동 1만5천평의 부지에 민자
유치를 해서라도 소각장을 건설해야 한다는 것.

이곳은 두산개발이 지난 93년 하루 2백만t처리규모의 소각장 건설을 계획
했던 곳이므로 수출공단 등 관련기관들이 팔을 벗고 나서면 성사될 수 있다고
확신하고 있다.

업체의 한 관계자는 "하루 평균 2백만t 처리규모의 대형 소각장이 건설
되면 업체들이 처리비용을 현재보다 절반이하로 줄일 수 있고 자체 소각이
필요없어 공단의 환경개선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함께 지정폐기물을 매립할 수 있는 매립장을 인천지역에 확보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되고 있다.

인천도금협회의 최송만상무는 "정부에서 기업지원을 말로만 외치지 말고
업체들이 고통을 겪고 있는 폐기물의 원활한 처리와 처리비용을 줄이기위한
매립장 마련에 앞장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 인천=김희영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1월 8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