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산업구조의 국제경쟁력을 배양하기위해서는 권역별로
"산업지원센터 "를 건립,지역산업의 거점화를 촉진하고 공업지역
재개발법을 신설하는등 공업지역을 서둘러 재정비해야한다는 주장이
제기돼 관심을 끌고있다.

서울시정개발연구원(원장 정세욱)은 24일 서울산업과 관련된 제반정책의
현황과 문제점을 평가하고 산업정책의 기본방향을 제시한 "서울시 산업의
구조조정및 진흥정책"이라는 연구자료를 발표했다.

이 자료에 따르면 중구,성동구,구로.영등포.강서.양천구,강남구,도봉구
등 5개 지역에 산업지원센터를 설립,지역별로 특성있는 산업을 집중
육성해야한다고 밝히고 있다.

중구 산업지원센터는 인쇄및 섬유.의류산업을 지원하고,<>성동구는
시계등 다업종 집적산업을 <>구로 영등포 강서 양천구는 화합물 조립산업
<>강남구 패션및 사업서비스업 <>도봉구는 소비재산업등 권역별로
특정산업을 집중 육성토록한다는 것이다.

또 공장이전지에 아파트등 주거단지가 집중 조성되는 바람에 공장이전지
의 재활용율은 10.5%,서울지역 공업지역중 실제공장부지는 8.02 (27.9%)에
불과,제조업기반을 약화시키는 원인이 된다고 지적했다.

이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공업지역 재개발에 관한 법률을
신설하고 미국의 "엔터프라이즈 존"이나 일본이 "실행지구"와 특정용도의
공업지구를 조성해야한다고 주장했다.

이밖에 <>공장 고층화유도 <>주.공.상 복합건물추진 <>공장밀집지역은
공업단지로 지정 <>공업지역의 이미지개선등으로 공업지역을 재정비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지난 80년현재 32.6%였던 2차산업의 비중이 90년에는 29.7%로 급격히
떨어졌다며 서울지역의 산업경쟁력을 고양시키기 위해서는 뉴욕이나
동경과 같이 제조업의 기능을 일정수준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제조업 1천여개 업체등 모두 1천6백개 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산업실태"에 대한 여론조사 결과,공장입지의 문제점에 대해 업주들의
32%는 "토지가격이 높거나 임대료가 비싸다",20%는 "유통이 어렵다"고
응답했으며 19%와 14%는 각각 "부지확장및 건물의 증.개축이 어렵다",
"법규제가 심하다"고 답했다.

또 공장이전을 계획하는 업체의 94%가 상대적으로 인력을 구하기 쉬운
서울의 다른지역또는 수도권을 꼽아 공장이전에 따른 수도권인구 분산
정책이 전혀 실효성이 없고 오히려 경제성만 떨어트리는 것으로 입증됐다.

이와함께 정보수집방법으로는 "직접 시장조사한다"가 27%,"친분관계의
사람을 통해서"와 "다른 기업을 통해서"가 각각 22%,"한국경제신문등
경제지를 통해서"가 17%인데 반해 경제단체나 정부로부터 정보를
얻는다는 응답자는 각각 3,4%에 그쳤다.

(한국경제신문 1995년 2월 25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