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크하우스에서 운영 중인 쉐어하우스 모습. 도쿄=이소은 기자
오크하우스에서 운영 중인 쉐어하우스 모습. 도쿄=이소은 기자
주택을 공유하는 형태의 ‘쉐어하우스(셰어하우스)’가 청년층의 주거 대안으로 떠오르면서 일찍이 비슷한 형태의 주거 시설을 운영해온 일본 시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쉐어하우스는 다수가 한 집에서 살면서 개인 공간인 침실은 각자 따로 사용하지만, 거실·화장실·욕실 등은 공유하는 형태의 주거 시설을 의미한다. 입주민들이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 취사·휴식 등 생활공간이 마련돼있어 주거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편리한 입주에 공실률 부담 적어

쉐어하우스에 대한 국내적 관심이 높아진 것은 1인 가구 수가 최근 가파르게 증가한 것과 관련이 있다. 서울시가 발표한 '2017 서울서베이 도시정책지표조사' 결과에 따르면 서울시 내 전체 가구에서 1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29.9%(2016년 기준)에 달한다.

이에 원룸보다 비용이 저렴할 뿐 아니라 입주민 커뮤니티까지 형성할 수 있는 쉐어하우스가 젊은 층들을 중심으로 인기를 얻게 된 것이다. 한 때 홍대·명동 등 번화가를 중심으로 번졋던 '게스트하우스 붐'에 이어 쉐어하우스가 수익형 상품으로 떠오르고 있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다.
오크하우스에서 운영 중인 쉐어하우스 모습. 도쿄=이소은 기자
오크하우스에서 운영 중인 쉐어하우스 모습. 도쿄=이소은 기자
1~2인 가구가 압도적으로 많은 일본의 경우, 1980년대부터 쉐어하우스 형태의 주거 양식이 등장했다. 올해로 설립 19년째를 맞은 ‘오크하우스’는 세계 최대 규모의 쉐어하우스 운영 업체로 꼽힌다. 현재 약 210개의 소셜하우스를 보유, 운영 중이다.

지난 9일 한국사회능력개발원이 진행한 ‘일본 부동산해외연수’ 프로그램을 통해 요코하마시 아오바구에서 운영 중인 ‘오크하우스’ 한 곳을 직접 찾았다. ‘편리한 입주’, ‘안정적 수익’, ‘활발한 커뮤니티’, 업계 1위 업체인 ‘오크하우스’가 말하는 성공 비결이다.

이날 브리핑을 담당한 에비하라 오크하우스 부장은 “‘캐리어 하나만 들고 들어오면 된다’는 게 오크하우스의 가장 큰 장점”이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일반 주택 입주 시 보증인이 필요하고 절차가 복잡한 데 반해 쉐어하우스는 별도의 심사 과정 없이 입주할 수 있다. 개인 공간인 침실에는 침대, 책상, 세면대, 냉장고가 이미 설치돼있다. 음식을 해먹거나 빨래를 하려면 공용 공간인 식당과 세탁실을 이용하면 된다.
오크하우스에서 운영 중인 쉐어하우스 모습. 도쿄=이소은 기자
오크하우스에서 운영 중인 쉐어하우스 모습. 도쿄=이소은 기자
숟가락, 젓가락부터 사야 하는 일반 주택 입주와 비교해 초기에 드는 비용이 적은 편이다. 침대 커버와 이불 역시 일정 금액을 지불하면 오크하우스에서 대여해준다. ‘캐리어 하나만 있으면 된다’는 게 과언이 아닌 셈이다.

이런 편리함 때문에 일본인은 물론이고 외국 유학생들의 입주율도 높은 편이다. 국적 별 입주 비율을 보면 일본인 비율이 59%, 외국인이 41%를 차지한다. 외국인 중에서는 한국인이 가장 많다. 워킹홀리데이 비자로 일정 기간 일본에 체류하는 유학생들이 쉐어하우스를 찾는 경우가 많다는 설명이다.

◆ "노후 주택, 리모델링 후 임대 원활"

구조는 일반 기숙사와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쉽다. 주로 1인실로 이뤄진 개인 공간은 전용 12㎡ 정도로 한 명이 사용하기에 적당한 크기다. 공용 공간은 기본적인 식당, 화장실, 샤워실은 물론이고 헬스장, 영화관, 테라스, 로비 등 다채롭게 꾸며져 있다.

오크하우스는 개인 주택이나 법인 사택, 기숙사 등을 직접 매입해 운영하거나 위탁 받아 관리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입지와 시설, 비용 등을 고려해 시설을 선정한 후 쉐어하우스 구조에 맞게 리모델링 하게 된다. 역세권에 위치한 노후 기숙사가 가장 선호도 높은 시설이다.
오크하우스에서 운영 중인 쉐어하우스 모습. 도쿄=이소은 기자
오크하우스에서 운영 중인 쉐어하우스 모습. 도쿄=이소은 기자
에비하라 부장은 “교외에 위치한 노후 주택의 경우 선호도가 떨어져 임대가 잘 이뤄지지 않는데 쉐어하우스로 개조해 운영하면 찾는 사람이 많고 공실률이 낮아 투자 상품으로도 떠오르고 있다”고 설명했다.

임대료에서 수선비와 오크하우스에 지불하는 수수료 등을 제외하면 집주인이 얻을 수 있는 순수익은 30% 정도라는 게 현장 관계자의 설명이다. 쉐어하우스의 경우 6개월 정기임대차 계약이 이뤄지기 때문에 재개발 등에 따른 퇴거 명령을 내리는 것도 가능한 구조다.

1명의 매니저가 150여명의 입주민을 일괄 관리해 임대료가 밀리는 경우도 거의 없다. 임대료가 제 때 입금되지 않으면 10일 간 하루에 한번 씩 매니저가 입주민에게 전화로 독촉을 하는 시스템이다. "공동생활로 인해 안면이 있는 사이인 만큼 임대료로 말썽을 부리는 입주민은 없는 편이"라는 게 이 곳 매니저의 얘기다.

1인 가구의 외로움을 달랠 수 있는 커뮤니티 활동도 적극적으로 전개하고 있다. 오크하우스에서 부담해 공연, 파티 등 입주민 행사를 주최하기도 하고 입주민들끼리 추렴해서 요리 교실, 스포츠 경기 등을 진행하기도 한다.
오크하우스에서 운영 중인 쉐어하우스 모습. 도쿄=이소은 기자
오크하우스에서 운영 중인 쉐어하우스 모습. 도쿄=이소은 기자
에비하라 부장은 “쉐어하우스는 한 개의 부동산을 여러 개의 상품으로 분할, 임대하기 때문에 1명의 퇴거자가 발생하더라도 수익이 줄어들 뿐 지속적으로 안정된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며 “공용공간이 넓어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도 장점”이라고 말했다.

한편, 국내에서 쉐어하우스 관련 이슈가 뜨거워진 것은 문재인 대통령이 주거 정책 공약으로 이런 주거 시설의 확대 공급을 내걸면서부터다.

문 대통령은 대선후보 당시 "청년들의 주거 대안으로 떠오르는 '쉐어하우스'도 적극 지원하겠다"며 "월세 30만원 이하의 쉐어하우스형 청년임대주택을 임기 내 5만실 공급하겠다"고 발표했다. 이에 전문가들 사이에서 "노후주택을 개선할 경우 최저주거기준에 미달할 수 있어 부작용을 보완해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된 바 있다.


도쿄=이소은 한경닷컴 기자 luckyss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