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 미국 대통령으로 도널드 트럼프 공화당 후보가 9일 당선되면서 국내 부동산 시장에도 어느 정도 충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상했다.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확대 가능성 등 경제 전반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수요가 위축될 수 있다는 전망이다. 환율 및 금리 상승 현실화에 따른 가계부채 부담이 부동산 시장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견해도 나온다.

심교언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보호무역 경향이 심해지면 조선 자동차 등 제조업이 직접적인 영향을 받아 경기가 악화될 가능성이 있다”며 “오피스 등 수익형부동산이 먼저 타격받을 것”으로 전망했다. 국토교통부 주택토지실 관계자도 “저금리 덕에 그동안 활기를 띠던 수익형 부동산 시장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이미 수익형부동산 공실률은 상승 추세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올 3분기 오피스, 중대형 상가 공실률은 조선업 등 주력산업 구조조정과 수출 악화로 지난해 동기에 비해 각각 0.4%포인트, 0.1%포인트 늘어난 13.0%, 10.7%를 기록했다.

환율 및 금리 인상 가능성도 변수다. 트럼프의 대북 강경책이 현실화되면 국내 금융자산에서 외국 자본이 빠져나가면서 원·달러 환율이 올라가고(원화 약세) 이는 국내 금리 인상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이날 원·달러 환율은 전날보다 14원 이상 급등했다. 박천규 국토연구원 부동산시장연구센터장은 “내외부 요인을 볼 때 금리 인상은 시기 문제”라며 “부동산 시장에 하방 요인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6월 말 기준 가계부채 잔액은 1257조3000억여원으로 상반기에만 54조원 넘게 증가했다. 허윤경 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금융권은 가산금리를 올리면서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에 대비하고 있다”며 “실수요자뿐 아니라 투자자들도 부동산 관련 채무상환 계획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건설업계의 해외사업에 미칠 악영향도 거론된다. 트럼프는 국내 건설업체들이 최근 사업을 재개하고 있는 이란에 대한 경제제재 해제를 원점에서 재검토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국토부 건설정책국 관계자는 “교통 주택 등 인프라, 에너지개발사업 등 해외건설 프로젝트가 시작하기도 전에 차질을 빚지 않을까 우려된다”고 말했다.

이해성/조수영 기자 ih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