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산층 몰려드는 뉴타운] 뉴타운 해제구역, 난개발 비상…전세난 타고 빌라·원룸 신축붐
서울 영등포뉴타운 등 지구 내 정비구역 상당수가 해제된 뉴타운은 개발을 마치더라도 ‘반쪽 뉴타운’에 그칠 것이란 지적이 나오고 있다. 같은 뉴타운에 사업 추진 및 해제 구역이 뒤섞이면서 대규모 재개발로 도로, 공원, 상업·업무시설 같은 기반시설을 일거에 개선하겠다는 애초 목표를 달성하기 힘들어졌기 때문이다.

일부 뉴타운 해제구역에선 건물 신축 때 주차장, 녹지공간 등 편의시설 조성 의무가 적은 빌라(다세대주택)와 원룸 건축붐이 불면서 난개발 우려도 높아지고 있다.

지난해 7월 전체 26개 정비사업 구역 중 16개 구역이 무더기로 풀린 서울 영등포동 영등포뉴타운은 면적과 기반시설 조성 계획이 대폭 축소됐다. 당초 ‘금융 1번지’ 여의도 업무기능을 보조하는 부도심으로 개발될 예정이던 영등포뉴타운 면적은 22만6000여㎡에서 14만2000㎡로 줄었다. 상업시설 면적(3만2000여㎡)은 원래 계획보다 30% 줄어들었고 판매·업무시설은 조성 계획 자체가 사라졌다.

신길뉴타운 장위뉴타운 등 뉴타운 해제 구역 중심으로 빌라·원룸 신축이 크게 늘면서 주차난과 교통난이 현실화되고 있다. 10년 넘게 재산권 행사를 제한받아온 주민들의 개별적인 개발 욕구와 만성적인 전세난으로 신축 빌라 수요가 높아져서다.

빌라와 원룸은 아파트에 비해 주거환경이 열악하다. 주택법에 따라 30가구 미만 공동주택은 놀이터, 공원 등 부대·복리시설을 설치할 의무가 없다. 대부분 빌라가 한 단지에 최대 29가구까지만 지어지는 것도 이 때문이다. 지난해 서울 장위동에서 건축허가를 받은 다세대주택 60여동 중 30가구 이상은 1동밖에 없었다.

서울시는 뉴타운 해제구역의 난개발을 막기 위해 건축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운영해 왔지만 실질적인 효과는 미미하다는 지적이다.

서울시는 ‘뉴타운 해제지역 등 저층주거지 관리 및 재생모델 개발’ 용역을 조만간 발주, 정비구역 해제지역의 특성에 맞는 주거환경 개선 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홍선표 기자 ricke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