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일 찾은 서울 문래동 3가의 한 소규모 철공소 주변 골목길. 문래동에서 작업실을 차린 미술가들이 곳곳에 벽화를 그리면서 철재단지 일대는 사진작가들의 촬영지로도 인기를 끌고 있다. 마지혜 기자
지난 6일 찾은 서울 문래동 3가의 한 소규모 철공소 주변 골목길. 문래동에서 작업실을 차린 미술가들이 곳곳에 벽화를 그리면서 철재단지 일대는 사진작가들의 촬영지로도 인기를 끌고 있다. 마지혜 기자
서울시가 추진하는 문화 도시재생 정책은 정보기술(IT)·바이오 등 신(新)산업 유치와 전통 제조업 부활에 이은 세 번째 ‘박원순표 도시재생’이다. 산업 기반이 취약하고 재개발에 따른 수익성을 담보할 수 없는 지역에 ‘문화’라는 스토리를 입힌 신개념 도시재생을 추진하겠다는 게 박원순 서울시장의 구상이다.

낙후 지역에 문화로 활기 불어넣어

서울시가 ‘문화 오아시스 프로젝트’라고 이름 붙인 문화 도시재생의 핵심은 서교동, 문래동 등 자생 예술촌을 집중 육성해 지역 경제를 활성화시키겠다는 것이다. 시는 노후화된 도시에 오아시스처럼 문화로 생기를 불어넣겠다는 취지로 이 같은 이름을 붙였다.

시는 우선 서교동, 연남동 등 홍대 외곽지역 및 문래동, 대학로 등 이미 예술가들이 자리 잡기 시작한 지역에 예술창작센터를 조성해 예술가들의 활동을 적극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2010년 가장 먼저 개관해 문래동에 살고 있는 예술가들의 활동을 돕는 문래예술공장 사례를 다른 지역에도 확산시키겠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동숭동, 혜화동 등 대학로 일대에 연극인을 지원하기 위한 거점(앵커) 시설을 세우기로 했다.

자생 예술촌은 없지만 상권이 낙후하고 버려진 시설이 남아 있는 지역은 대규모 문화시설로 조성한다. 시는 영국 테이트모던과 미국 구겐하임미술관처럼 낙후한 폐시설을 문화시설로 대거 조성해 관광객을 끌어들인다는 계획이다. 광장동 구의취수장, 상암동 석유비축기지, 신월동 김포가압장, 도봉동 대전차 방호시설 등이 대표적이다.

시는 지난 3월 서울거리예술창작센터로 문을 연 구의취수장처럼 도봉동 대전차 방호시설도 내년 10월까지 예술창작센터로 조성하겠다는 계획이다. 서울광장의 여덟 배에 달하는 규모로, 2000년 이후 방치된 상암동 석유비축기지는 내년 말께 공연장, 옥외공연장, 기획·상설 전시장이 들어서는 문화공간으로 탈바꿈한다. 2018년까지 서울시의 ‘문화 오아시스 프로젝트’에 소요되는 예산은 916억여원이다. 시는 상대적으로 대규모 재개발에 투입되는 예산에 비해 적은 돈으로 낙후한 지역의 경제를 살리는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낙후된 부도심, 예술을 입다] 연남·혜화·광장동…서울시 "문화로 지역경제 살린다" 916억 투입
“지역 특색 살린 문화 아이템 필요”

서울시의 이번 ‘문화 도시재생’ 계획은 2008년 오세훈 시장 재직 시절 처음 선보인 ‘컬처노믹스’와 맞닿아 있다. 오 전 시장은 2008년 4월 문화(culture)와 경제(economics)의 합성어인 컬처노믹스(culturenomics)를 중심으로 하는 ‘창의문화도시 마스터플랜’을 발표했다. 당시에도 버려진 건물과 지하상가를 예술창작공간으로 리모델링하고, 예술가들을 위한 예술공장을 조성하는 내용이 담겼다. 문래동 예술가들의 창작활동을 지원하고 있는 문래예술창작센터도 이때부터 시작됐다.

다만 시는 지금까지 개별적으로 이뤄졌던 문화예술 정책을 지역 경제와 연계해 도시재생이라는 방향으로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서울시가 밝힌 상암DMC·수색, 영동권 등 MICE(기업회의·포상관광·컨벤션·전시) 및 IT 등 신산업 결합형 도시재생계획과 전통 제조업 부활을 뜻하는 ‘매뉴팩처 서울’에 이은 세 번째 도시재생 계획이다.

전문가들은 문화 도시재생을 통해 낙후한 지역을 살리겠다는 서울시의 정책 방향은 맞지만 지나치게 관(官) 주도의 개발로 치우칠 것을 우려했다. 박신의 경희대 문화예술경영학과 교수는 “지역 주민의 삶이 높아지지 않고 관광객 등 외부인만 만족한다면 진정한 의미의 도시재생으로 볼 수 없다”며 “반드시 지역 주민의 참여가 전제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호철 단국대 도시계획·부동산학부 교수는 “두루뭉술하게 문화만 강조할 것이 아니라 지역 특색을 살린 차별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강경민/마지혜 기자 kkm1026@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