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상반기 대형 건설사 공공부문 수주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의 70% 수준으로 나타났다. 토목·건축 등 전문기술이 필요한 시장의 규모가 줄어들면 덩달아 인력과 기술에 대한 투자도 감소해 기술 경쟁력이 낮아질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7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국내 공공공사 수주 비중이 높았던 삼성물산 현대건설 등 시공능력평가 상위 6개 업체의 올 상반기 공공수주 실적은 1조6147억원이다. 이는 지난해 2조3390억원보다 31% 줄어든 규모다.

업계 1위 삼성물산의 실적이 전무한데 이어 현대건설은 54.3%, 대우건설은 39.3% 감소했다. 대림산업만 1540억원가량 늘었을 뿐 나머지 업체 모두 지난해에 비해 저조한 실적이다.

업계에서는 일단 정부 예산이 줄어들며 공공부문 사회간접자본(SOC) 발주가 급감한 것을 한 이유로 꼽는다. 상반기 기준 공공부문 SOC 발주 규모는 △2011년 13조1억원 △2012년 11조7억원 △2013년 7조1억원 △2014년 7조8억원으로 줄어드는 추세다.

공정거래위원회의 공공공사 담합 판정이 줄줄이 나오며 ‘아예 공공수주를 안 하겠다’는 분위기도 확산되고 있다. A건설 관계자는 “차라리 인력과 장비를 놀리는 게 수익 안 나는 공공공사에 참여했다가 과징금 받는 것보다 손실이 덜하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국가 기반시설을 조성하는 사업이 원활히 이뤄지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한다. B건설 관계자는 “기술력과 전문 인력을 갖춘 대형사가 참여하지 않으면 사실상 정부 공사를 진행하기 어렵다”며 “장기적으로는 기술 개발과 인재 양성에 대한 투자가 줄어들며 산업 경쟁력이 떨어질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이현진 기자 appl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