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약자들이 선호하는 직주근접(職住近接)형 보금자리주택과 일반공급 배정 물량을 늘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시범지구 사전예약을 전후해 보금자리주택에 대한 인기가 확인되면서 나타난 현상이다. 특히 일반공급분에 신청한 청약자들은 "특별 · 우선공급 때문에 일반공급에 배정된 물량이 적었다"며 더 많은 보금자리주택이 나오기를 기대하고 있다. 그린벨트를 풀어 주변 시세에 비해 최고 50% 싸게 공급되기 때문에 당첨 기회를 늘려달라는 지극히 당연한 반응이라 할 수 있다.

보금자리주택이 서민주택 공급 확대와 주택시장 안정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해서는 대중교통 이용이 가능한 서울 · 수도권 요지에 보다 많은 아파트를 건설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박재룡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서민층에게는 직주근접형 주택이 더욱 필요하다"며 "교통 요지에서 더 많은 공공주택을 지어 보금자리주택 분양 대상을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현아 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도 "그린벨트 해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보금자리주택 지구를 고밀화해 청약자들이 원하는 곳의 공급 주택수를 늘리는 것도 검토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현재 정부가 발표한 대로 그린벨트 해제를 통해 2012년까지 공급하겠다는 수도권 보금자리주택 32만채의 물량 자체는 엄청나다. 1980년대 말~1990년대 초 노태우 정부가 밀어붙인 주택 200만채 건설 계획은 수도권 90만채,지방에 나머지 110만채를 짓겠다는 것이었다. 수도권 90만채 중에선 서울시내에 40만채,분당 일산 평촌 산본 중동 등 1기 신도시에 약 30만채(정확히는 29만2000여채)를 건설했다. 당시 국내 총 주택수(1987년 기준 645만채)의 33%에 달하는 물량이었다.

보금자리주택은 그린벨트 해제지에 들어설 32만채에 그치지 않는다. 산지 · 구릉지,도심 재개발 · 재건축,신도시 및 공공택지 등에서 나오는 물량도 함께 계산해야 한다. 정부는 이들 보금자리주택지구에서 2012년까지 약 80만채(공공 60만채+민간 20만채)의 아파트를 공급할 계획이다. 수도권만 보면 20년 전 200만채 건설 계획과 비슷한 규모다.

장규호 기자 daniel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