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 재정비 · 재개발 사업이 조합의 비리나 내부 갈등으로 지연되고 좌초되는 것은 어제 오늘 이야기가 아니다. 최근 '용산참사'를 경험한 서울시가 여러 논란 속에서도 구청장이 직접 재개발 사업을 관리하도록 하는 공공관리자 제도를 도입키로 한 것은 투명하고 전문적인 사업관리가 그 만큼 절실하다는 얘기다.

하지만 그보다 범위가 큰 뉴타운(재정비촉진지구)사업에는 공공관리자와 일부 유사한 기능을 하는 제도가 이미 마련돼 있다. 공공기관의 행정 서비스를 토대로 한 '총괄 사업관리자(PM · Project Management)'제도다.

총괄사업관리자란 각종 건설공사나 개발사업에서 시행(발주)자를 대신해서 사업 전반을 관리해주는 용역을 지역재개발 · 공공사업에 원용한 것이다. 경기도시공사는 지방자치단체를 대신해 조합 및 건설업체를 통합관리해서 조정 · 중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조합이 사업주체가 돼서 개발하는 재개발 · 재건축 사업 등에서 기반시설을 우선 설치해 사업을 촉진하므로 초기부담을 줄이고,특히 장기간 사업이 부진한 구역에 대해서는 지자체장의 지정을 받아 직접시행을 하기도 한다. 쉽게 말해서 뉴타운 사업을 위한 공적 관리자로 보면 된다.

총괄사업관리자는 효율적이고 원만한 사업 추진을 유도할 수 있는 경기도시공사 대한주택공사 한국토지공사 등의 공공기관들이 하게 된다. 사업은 지방자치단체가 전문성과 경험을 갖췄다고 평가되는 곳을 사업자로 선정해서 이뤄지게 된다.

경기도의 총괄사업관리시장은 경기도시공사와 대한주택공사가 양분해서 사업 진행을 하고 있다. 경기도 12개 시에서 진행 중인 23개 뉴타운 가운데 경기도시공사는 현재 6개 지구의 총괄관리사업을 맡고 있다. 사업지구의 30% 가까이를 맡고 있는 셈이다. 경기도시공사가 이처럼 많은 뉴타운 관리사업에 뛰어들 수 있었던 것은 총괄사업관리 업무를 다른 기관에 비해 탁월하게 수행해온 결과다.

경기도시공사는 다른 경쟁업체에 비해 주민의견을 충실히 반영해주고 입지를 살려줌으로써 호평을 받고 있다. 현재 진행중인 6개 뉴타운 가운데 능곡 · 덕소 · 광명 · 만안 등 4곳의 경우 현지 주민지원센터를 만들어 올바른 정보제공과 사업시행과정을 설명해주면서 주민참여 및 의견수렴을 도모하고 있다.

또한 경기뉴타운지원센터에서는 전문위원회를 구성하고 포럼 등을 개최해 제도개선과 문제점에 대한 대책 마련에 앞장서서 처리해준다. 2007년부터 시작한 경기 뉴타운 포럼은 벌써 10차례가 열렸다. 다음 달에도 정기 포럼이 예정돼 있다. 경기뉴타운의 관심사와 현안사항 등을 빠르고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해 경기뉴타운홈페이지(http;//giconewtown.co.kr) 안에 '경기뉴타운 사이버 시민기자'도 운영한다.

향후 사업 시행 단계에서도 장점이 있다. 총괄사업관리자가 시행을 하면 투명성과 전문성뿐만 아니라 민간에서 자체적으로 시도했을 때보다 사업 추진 속도가 빨라질 개연성이 크다. 조합방식은 추진위원회구성과 조합설립 등 두 차례의 동의절차를 거쳐야 하지만 총괄사업관리자는 한 번의 동의만으로도 사업이 가능하다. 사업이 신속하게 이뤄지면 사업비용 절감 효과까지 얻어지게 마련이다.

사업비 감소 측면에서는 세금 및 부담금 감면혜택도 무시할 수 없다. 주거환경개선사업의 경우 취득 · 등록세가 면제되고 도시환경정비사업은 개발부담금을 절반만 내도 된다.

경기도시공사가 사업 초기부터 시행자 역할로 참여함으로써 자금조달이 신속하게 이뤄진다는 점도 매력이다. 시공업체 및 브랜드 선정은 물론이고 임대주택,세입자문제 등 보상과 관련해서도 주민대표회의를 구성하여 조합방식과 마찬가지로 주민의 의견을 반영한다.

경기도시공사 뉴타운사업처 박상욱 처장은 "총괄사업관리자로서 뉴타운 사업이 빠르고 차질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며 "지역 커뮤니티를 살리고 물리적 환경뿐만 아니라 삶의 질까지도 정비하는 뉴타운사업을 위해 공부방운영과 독거노인지원 등과 같은 사회봉사활동도 계속적으로 실시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박종서 기자 cosm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