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지면적이 4만6백52평에 달하는 단국대 부지 재개발 사업에 다시 시동이 걸렸다. 이 땅은 한강 조망이 가능한 서울의 마지막 노른자 땅이어서 주택분양이 이뤄질 경우 ‘대박’이 확실시 돼왔다. 업계는 그러나 해당 부지에 얽힌 채권 채무관계가 워낙 복잡해 이 번에도 사업이 성사되려면 적잖은 난관을 넘어야 할 것으로 보고 있다. ◆시행업체 개발안(案)은? 지난 2003년 스타포드가 부지개발을 추진할 때는 고급 빌라와 아파트 약 1천가구를 짓는 계획을 세웠었다. 이에 비해 공간토건은 이 번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컨소시엄에 두가지 방안을 제시했다. 첫번째는 서울시와 협의해 고도제한을 풀고 초고층 아파트를 짓는다는 것이다. 두번째는 고도제한 완화가 여의치 않을 경우 스타포드와 마찬가지로 고급 빌라와 12층짜리 아파트 등을 섞어짓는 방안이다. 이 중 주택업계의 관심을 끌고 있는 초고층 아파트 건축안의 경우 현재 압구정동에서 추진되고 있는 재건축 추진방안을 벤치마킹한 것이다. 즉 현재 1백∼1백10%인 용적률을 최대한 높여 아파트를 고층화하고 남는 부지에는 녹지공간을 충분히 집어넣겠다는 복안이다. ◆넘어야 할 난관 산적 공간토건측 안대로 사업이 추진될 수 있을지는 불투명한 상황이다. 우선 초고층 아파트의 경우 서울시가 고도제한을 풀어줄 가능성이 그리 높지 않다. 고도제한 문제가 해결되거나 두번째 안으로 방향을 틀더라도 채권채무 정리라는 문제가 남는다. 1994년 처음으로 단대부지 이전사업을 추진했던 한국부동산신탁과 시행사 시공사 종금사 등이 외환위기 때 모두 부도가 나는 바람에 채권 채무가 복잡하게 얽혀 있기 때문이다. 2003년에 우리은행이 주간사로 참여해 3천억원을 지원하기로 하고 단국대,스타포드 등과 MOU를 체결했다가 백지화된 것도 이 때문이었다. 이에 대해 이번 컨소시엄에 참여하고 있는 금융회사 관계자는 "최근 단국대 이사장에 13,14대 국회의원을 지낸 박석무 다산연구소 이사장이 취임하는 등 단국대 이사진이 물갈이돼 사업추진이 힘을 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부동산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부동산 전문가들은 단국대 주변에 주택수요자들의 선호도가 높은 한남뉴타운이 들어설 예정인 데다 일부 가구에서는 한강조망도 가능할 것으로 보여 재개발이 성사된다면 청약 열풍이 불어닥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신한은행 고준석 부동산재테크팀장은 "단대부지는 입지여건 등으로 따져볼 때 서울의 최고 인기지역으로 떠오를 가능성이 높은 곳"이라며 "다만 사업성사 여부가 여전히 불투명한 만큼 '딱지'(입주권) 등에 무리해서 투자하는 일은 삼가야 한다"고 조언했다. 송종현 기자 screa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