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이 주식에 비해 가격 거품의 붕괴 가능성이훨씬 높다는 해외 조사결과가 제시됐다. 한국은행은 국제통화기금(IMF) 보고서 자료를 인용, 지난 70년이후 최근까지 OECD 15개국의 자산가격 추이를 관찰한 결과 자산가격의 거품이 붕괴된 경험은 주식시장보다 부동산시장에서 빈번하게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26일 밝혔다. 주식시장은 24차례의 '붐' 가운데 4차례만 가격폭락으로 이어져 경험적 확률이17%에 불과했지만 부동산시장은 20차례의 붐 가운데 절반이 넘는 11차례나 거품 붕괴로 이어져 확률이 55%에 달했다. 부동산시장의 거품 붕괴는 일본, 덴마크, 네덜란드, 영국 등 도시집중화가 심하고 국토 면적이 작은 나라에서 일어났으며 영토가 넓은 미국의 경우 부동산시장의버블 붕괴현상이 없었다고 설명했다. 자산가격의 거품이 붕괴로 이어지면서 일본처럼 은행위기를 불러오는 경우가 많았으며, 자산가격이 붕괴된 이후에는 국내신용이 악화되는 등 거시경제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쳤다고 지적했다. IMF 보고서는 지난해 많은 국가들이 주가 폭락을 경험하고 미국.영국 등 일부국가에서 부동산 가격 버블 논쟁이 가열되면서 거품이 붕괴로 이어지는 상황을 막기위해 중앙은행의 새로운 역할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중앙은행의 통화정책이 전반적 거시경제 상황과 유리될 수도있는 자산가격 변동에 선제적 또는 즉각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다고 밝혔다. 다만 자산가격의 급등락이 상품 및 서비스가격에 악영향을 미치는 등 전체 경제상황을 악화시킬 것이 확실시되는 경우에만 예외적으로 개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예외적 대응론'이 지배적인 견해라고 덧붙였다. (서울=연합뉴스)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