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락하는 것은 날개가 없다.' 재건축을 추진중인 저층 아파트값이 바닥을 짐작할 수 없을 정도로 하락에 하락을 거듭하고 있다. 1억원 정도 떨어진 곳도 나왔고 우려되던 깡통아파트도 등장했다. 중층 및 고층 단지들이 소폭의 조정에 그치는 것과는 대조적인 모습이다. 이들 저층 단지는 앞으로도 더 떨어질 태세다. 재건축이 물건너갈 수도 있다는 우려가 가격의 날개를 꺾어 버렸다. ◆최대 1억원 하락=최근 들어 시세 하락을 주도하는 아파트는 대부분 5층짜리 저층 아파트들이다. 강남구 개포저층1단지 15평형은 1억원 가까이 추락했다. 9월초 4억8천5백만원까지 호가하던 15평형은 최근 3억8천5백만원으로 주저 앉았다. 인근 우정공인 정창성 대표는 "일반매물보다 2천만∼3천만원 싼 급매물에도 전혀 입질을 하지 않는다"고 전했다. 송파구 가락시영1차 17평은 9월말 4억3천만원까지 치솟았지만 지금은 3억4천만원짜리 매물도 나오고 있다. 인근 조테크공인 배점숙 대표는 "집값의 80%까지 대출을 끼고 매입한 투자자 가운데 일부는 본인 투자금액의 전부를 까먹고 깡통상태에 들어간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강동구 둔촌주공 16평형은 지난해말 시공사 선정 때 3억3천만원에 거래됐지만 지금은 2억9천만원에도 살 사람이 없다. 인근 으뜸공인 김효원 대표는 "매수 대기자들은 더 떨어지기를 느긋하게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강동구 고덕시영 13·17평형은 지난해 10월 대비 2천만∼3천만원대의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과천의 경우 3억6천원에 호가되던 중앙동 주공1단지 16평형이 2억9천만원대로 급락했다. ◆재건축 허용연한 연장이 치명타=잠실주공 등 저밀도지구 내 저층 아파트는 그나마 재건축이 확실하기 때문에 가격 저항선이라도 있다. 그러나 다른 저층단지는 재건축이 불확실해 마땅한 저항선을 찾을 수 없다. 무엇보다 '도시 및 주거환경 정비법'이 시행되면 재건축 허용연한이 40년까지 연장될 수도 있다. 이렇게 될 경우 중·고층 재건축 대상 단지들은 리모델링이라도 가능하지만 저층 단지는 좁고 낡은 집에서 앞으로도 20년을 더 살아야 한다. 법 시행 이전인 6월까지 안전진단을 통과하면 새로운 법의 적용을 피할 수 있지만 현재로서는 안전진단 통과를 장담할 수 있는 저층 단지가 그리 많지 않은 게 향후 전망을 어둡게 하는 요인이다. 조성근 기자 trut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