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4분기 땅값이 작년 한해동안 오른 것보다 무려 33% 이상 더 상승, 주택시장에 이어 토지시장에도 거품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특히 이런 땅값 상승세는 수도권과 개발제한구역 해제지역 등을 중심으로 수익성이 보장되지 않은 택지에도 덮치고 있어 부동산 투기가 재발되는 것 아니냐는 분석마저 나오고 있다. 이와관련, 건설교통부와 부동산업계 안팎에서는 경기회복에 따른 `당연한' 가격회복이라는 견해와 주택시장 안정에 따른 반작용으로 과열양상을 보이고 있다는 견해가 맞서고 있다. ◇ 땅값 얼마나 올랐나 = 국제통화기금(IMF) 경제위기를 맞은 전국 땅값 상승률은 0.31%였으며 이듬해인 98년에는 땅값 거품이 빠지면서 무려 13.6%나 하락하는 기현상이 빚어졌다. 이후 99년에는 경기가 회복조짐을 보이고 98년 대폭락에 대한 반등이 겹치면서2.94% 오르기는 했지만 2000년에는 0.67% 상승에 그쳤고 작년 한해동안 오름폭도 1.32%에 불과했다. 그러나 지난 1.4분기 땅값 상승률은 1.76%에 달하면서 작년의 상승폭을 단숨에 뛰어넘었다. 이와관련, 건교부는 "저금리가 지속되고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 주택가격 상승 영향으로 땅값이 오르고 있다"고 분석했다.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무엇보다 올들어 정부가 주택시장 안정대책을 잇따라 내놓으면서 아파트 가격이 안정세로 돌아서자 그간 상대적으로 가격이 덜 오른 토지시장으로 돈이 몰려 이런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고 해석했다. ◇ 땅값 어디가 오르고 있나= 1.4분기 지역별 땅값 상승률을 보면 전국평균은 1.76%이지만 서울(3.0%), 인천(2.40%), 경기(2.28%) 등 수도권 지역은 평균 상승률을 훨씬 웃돌고 있다. 용도지역별로는 녹지 2.29%, 주거용지 2.0%, 상업용지 1.56%, 준농림지 1.35%,공업지역 1.19%, 준도시지역 1.16%, 농림지 0.48%, 자연환경보전지역 0.32%로 보기드물게 녹지의 상승폭이 가장 컸다. 특히 지난 9일 한국토지공사가 경기도 용인 죽전에서 분양한 블록형 단독택지 27필지의 청약접수에서는 평균 14.8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하기도 했으며 이중 개인이투자할 수 있는 3필지에는 241명이 몰려 80.3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또 서울시 금천구 독산동- 광명시 소하동- 금천구 시흥동 등으로 연결되는 강남순환 도시고속도로의 일부 구간이 착공된 광명 소하, 개발제한구역이 조만간 해제될 예정인 지하철 안산선 정왕역 부근, 경부고속철도 개통과 아산신도시 개발호재를 안은 천안과 아산지역의 땅값도 큰 폭으로 뛰고 있다. 아울러 서해안 고속도로 개통으로 충남 태안군 안면도도 투자자의 관심을 끌고있다. ◇ 땅값 오름세 지속될까= 토지공사가 최근 감정평가사, 토지전문 중개업자 등 부동산 전문가 40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조사대상의 73%가 `2.4분기에도 땅값을 오를 것'이라고 답했다. 이들은 개발제한구역 해제 및 신도시 건설추진 등으로 지역별로는 경기지역이,개발제한구역 해제 본격화로 용도별로는 녹지의 땅값이 가장 많이 오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도 지난 3월 "작년말부터 올해 초까지 급등했던 서울 아파트 가격은 하반기에 1-2% 하락하는 반면 전국의 땅값은 그린벨트 해제지역을 중심으로 연간 2-3% 상승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 문제는 없나= 부동산업계 일각에서는 최근 땅값 상승세에 대해 아파트 또는 오피스텔 등 수익형 부동산에 대한 정부의 규제로 갈 곳이 없어진 부동자금이 토지로 몰리고 있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특히 이 돈은 프리미엄을 찾아온 단기자금으로 최근에는 수익성이 보장되지 않은 택지에 대해서도 일단 청약을 신청하고 보는 `묻지마 투자'로 이어지고 있다는것. 그러나 이런 무분별한 투자는 결국 어떤 형태로든 수요자에게 책임을 전가하게될 것이라는 점에서 우려를 낳고 있다. 시민단체 관계자는 "단기적인 시세차익을 노린 부동산 투자는 결국 기업경쟁력약화는 물론 집값 상승을 초래한다는 점에서 `투기거품'을 미리 제거하는 조치가 필요하다"며 "주택과 마찬가지로 청약자격 제한 등의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서울=연합뉴스) 인교준기자 kjih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