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인상이 부동산 시장의 화두로 떠올랐다. 그동안 부동산 시장이 활황세를 보인데는 정부의 저금리 기조가 한 몫했기 때문에 금리가 오를 경우 시장이 어떻게 바뀔지에 투자자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일단 금리인상은 기정사실로 굳어지는 분위기다. 다만 인상시기에 대한 전망은 엇갈리고 있다. 한국은행 박승 총재는 늦어도 7월 이전에 콜금리를 인상할 것임을 강력히 시사해 놓고 있다. 금리가 인상된다면 인상폭은 0.25%포인트일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금리인상이 상반기 부동산 시장의 주제라면 하반기엔 대통령선거 일정이 단연 으뜸 변수로 꼽히고 있다. 금리인상과 대통령선거가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결코 과소평가될 수 없기 때문에 일단 관심을 갖고 지켜 보는게 투자수칙이라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금리인상과 집값 전망 =금리가 오르면 집값은 하향 안정세로 돌아선다는게 일반적인 전망이다. 금리가 뛰면 금리상승 이전보다 집을 구하려는 수요가 줄어들기 때문이다. 삼성경제연구원에 따르면 금리가 1%포인트 상승하면 주택 수요는 0.047% 감소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렇지만 시장이 일반적인 전망처럼 일률적으로 움직이는 것만은 아니다. 우선 금리가 오르더라도 자금수요자가 금리인상폭을 감내할 수준이라고 반응하면 '금리인상=집값내림세'라는 등식이 성립하지 않을 수도 있다. 다시말해 수요자들이 금리 인상폭보다 집값 상승폭이 더 클 것으로 판단한다면 주택 수요는 줄어들지 않을 수 있다. 집 수요가 감소하지 않으면 금리가 오르더라도 집값은 하향 안정세로 돌아서지 않게 된다. 전문가들은 콜금리 인상폭이 0.25%포인트 정도라면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문제는 금리가 추가로 더 오를 경우 상황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금리상승이 몇차례에 걸쳐 이어진다면 집값은 떨어진다고 예상하는게 상식적인 판단이다. 금리는 수출 설비투자 부동산 주식시장 시장금리 유가 공공요금 등과 세계경기 추세를 감안, 결정될 것이라는게 한국은행의 입장이다. 금리인상에 촉각을 세우는 부동산투자자라면 시장흐름을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 금리인상과 대출 =집을 구입하기 위해 은행에서 돈을 빌렸는데 금리가 인상된다면 이자부담을 감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은행에서 1억원을 연 6.5%에 변동금리로 빌렸을 경우 금리가 1%포인트 오르면 1년에 내야할 이자부담이 6백50만원에서 7백50만원으로 1백만원이 늘어난다. 매달 8만3천3백33원의 이자를 더 내야 하는 셈이다. 은행에서 돈을 빌려 아파트를 분양받은 후 금리인상으로 늘어나는 이자부담보다 아파트가격이 더 오른다면 위안이 되겠지만 아파트가격이 떨어지면 문제가 복잡해질 수 있다. 특히 싼 금리를 활용, 레버리지 효과(지렛대 효과)를 기대하며 투자목적으로 부동산을 매입했다면 자금흐름을 다시 한번 점검해 보라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금리인상 조짐에도 불구하고 내집마련을 위해 대출을 받아야 한다면 '30-30 전략'을 추천하는 전문가의 주장을 귀담아 볼 만하다. 주택담보 대출 규모는 집값의 30% 이내, 이자부담은 연수입의 30% 이내에 맞추라는 대출전략이다. 집값이 2억원이라면 대출금은 6천만원을 넘지 말고 연봉이 4천만원일 경우 연 이자부담은 1천2백만원 이하로 맞추라는 얘기다. 금리상승에 대비, 현금확보를 강조하는 보수적인 재테크 전략 가운데 하나다. 대통령선거와 집값 전망 =법률로 정해진 대통령선거일은 12월12일다. 선거 자체로만은 집값에 별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의견이다. 관심있게 지켜볼 일은 정부가 내놓는 주택정책과 추가 금리인상 여부다. 그동안 선거를 앞두고 대개 주택시장 안정정책이 봇물을 이뤘다. 집값이 오르면 여권에 결코 유리하지 않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다. 올해도 이같은 관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을 전망이다. 또 선거를 전후해 돈이 시중에 많이 풀리면 통화환수를 위해 금리인상을 예상해 볼 수도 있다. 어쨌든 금리상승이 대세(大勢)라는 판단이라면 돌다리도 두두리고 건너는게 상책인 것 같다. 김호영 기자 hy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