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도심의 소규모 필지나 낡은 단독주택을 헐고 동호인주택을
지어보세요.

동호인주택은 시중가격의 절반에 가까운 저렴한 비용으로 자신들의 취향에
맞춰 집을 마련한다는게 가장 큰 장점.

여기에 뜻맞는 친구나 직장동료들과 함께 산다는 것도 매력으로 꼽힌다.

이에따라 그동안 서울 외곽의 전원주택단지를 중심으로 활기를 띠던 동호인
주택이 최근에는 서울 반포동 청담동 고급빌라촌 등 도심으로 확산되는
추세다.

그러나 동호인주택은 여럿이 모여 집을 짓는 사업인만큼 구성원들의 의견
조율부터 부지선정 및 매입 시공사 선정에 이르기까지 신경써야 할 대목도
만만치 않다.

장기적인 안목에서 충분한 시간을 갖고 일을 추진해야 낭패를 보지 않는다.

<>투자사례

도심형 동호인주택이 새로운 재산증식 수단으로 떠오르게 된 것은 올해부터
주차장설치기준이 강화된데 힘입은바 크다.

이전처럼 원룸이나 다가구주택을 지어봤자 건축규정 강화로 채산성이 맞지
않아 공동개발외에는 뾰족한 방안이 없기 때문이다.

이에따라 강남일대를 중심으로 여러 필지의 지주들이 소규모 땅을 공동
개발하는 붐이 일고 있다.

직장동료와 고교동창생 16명이 모여 서울 서초구 반포동에 건립한 현대
팔레스가 대표적인 사례.

이들은 95년6월 이 일대 땅을 매입, 전용면적 47평짜리 고급빌라트 16가구
를 지어 지난해 9월 입주했다.

땅을 시세보다 20%정도 싸게 매입하고 건축비를 줄여 실제투자비용은
주변시세(평당 1천만원)의 60%정도가 들었다.

시가 6억원짜리 60평형 빌라트를 3억원정도에 장만한 셈이다.

여기에 자신만의 공간을 창조할 수 있던 점도 보이지 않는 수확.

가구마다 내부 인테리어가 모두 다르고 자신들의 개성이 흠뻑 담겨 있어
획일적인 아파트와 비할바가 못된다는 것이 입주민들의 한결같은 생각이다.

<>유망지역

도심 동호인주택은 개발이익 못지 않게 새집을 싸게 장만하는데 목적이
있는만큼 직장과의 교통여건 주거환경 교육여건을 충분히 감안, 입지를
선정해야 한다.

시공사가 일부분을 일반분양을 통해 자금을 회수할 경우를 대비해 사업성이
있는 지역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강남지역에서는 고급빌라가 많이 건립되고 있는 청담 반포동과 녹지공간이
풍부한 양재동일대가 적지다.

이들 지역은 교통 주거 교육환경이 뛰어난 일급주거지이지만 땅값이 평당
7백만~1천만원대로 비싸 자금여력이 있는 동호인들이 고려할만하다.

강북지역에선 최근 동호인주택 건립이 활발한 평창동 성북동과 한남동
동빙고동일대를 주목해 볼만하다.

주변에 고급주택가가 밀집돼 있고 녹지공간이 풍부해 전원형 주택을
짓기엔 안성맞춤이다.

땅값은 평창 성북동이 3백만~6백만원, 한남동일대가 6백만~8백만원선이다.

이밖에 서교동 동교동 연희동은 교통여건이 뛰어나 관심을 가질만하고
금호동 효창동 등 풍치지구 인근지역은 아직 평당 3백만원대에 매입할 수
있는 땅이 많아 비교적 적은 비용으로 동호인주택을 짓기에 적합한 곳으로
꼽힌다.

<>투자유의점

동호인주택사업은 구성원들이 수시로 모여 부지매입 주택건축양식 예산
등을 상의해야 하는만큼 친지 친구와 같이 서로 신뢰할 수 있는 사람들끼리
추진해야 한다.

사업을 원활하게 추진하려면 동호인이 너무 많은 것은 좋지 않고 통상
5~10명정도가 바람직하다.

부지선정은 동호인들의 출퇴근 및 교육 주거환경을 함께 고려해 선정하고
설계 및 시공기간을 충분하게 잡는 것이 좋다.

또 땅을 고를 때에는 가급적 건축사의 자문을 받아 건축규모 용적률 등을
관할구청에 사전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시공업체 선정도 중요하다.

자신이 살집이니만큼 믿을 수 있는 업체를 선정하고 건축비를 지나치게
싸게 제시하는 시공사는 피하는 것이 좋다.

공사비는 대체로 평당 2백50만~3백50만원까지 다양한데 동호인들의 자금
사정에 맞춰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움말=상지건영 유지호 사장 (02)3453-8871

<유대형 기자>

(한국경제신문 1997년 9월 26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