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내에서 단독주택들이 들어서있던 동네들이 잇달아 공동주택단지로
변모하고 있다.

이는 개발사업자에게는 단독필지를 합해 공동주택을 건립, 사업효율을
높일 수 있고 지주입장에서는 옆집과 공동매매를 함으로써 단일필지로 파는
것보다 더 낳은 조건으로 매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같은 지역에 고급빌라나 빌라트를 지어놓아도 어떤 것은 잘 팔리고
어떤 것은 분양이 잘 안돼서 고민하는 경우를 흔히 보게 된다.

이는 단순히 분양가격이 비싸거나 수요자가 적기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은
아니다.

보통 고급주택단지로 알려진 곳에서 전용면적 74평정도의 빌라나 빌라트의
분양가격은 평당 1천만~1천3백만원에 책정된다.

강남 일부지역아파트의 매매가가 평당 1천만원을 넘는 것이 보통이어서
이정도의 분양가격은 비싸다고 할 수 없다.

살고 있는 아파트를 팔고 조금 더 보태면 평수도 넓히고 고급마감재로
인테리어를 해놓은 곳으로 옮길 수 있는 셈이다.

또 빌라나 빌라트 모델하우스에 많은 사람들이 찾아오는 것을 보면 빌라나
빌라트에 대한 잠재수요가 적지않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그런데도 왜 상당수의 빌라나 빌라트가 미분양으로 남아있는 것일까.

그것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빌라나 빌라트가 아파트에 비해 투자가치가
적다고 생각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우리나라에서 주택은 주거를 위한 공간이면서도 재산목록 1호인 경우가
많다는 특징을 갖는다.

그래서 주택을 사거나 옮겨갈 때는 우선적으로 투자효과를 생각하게 된다.

국민주택규모라면 내집마련이라는 절대명제앞에 투자가치를 부수적인
것으로 간주할 수도 있겠으나 70평대 이상의 대형주택인 경우 투자가치는
기능 전망 스타일과 함께 집을 선택하는데 있어서 최우선적 고려대상이 될
수밖에 없다.

특히 빌라나 빌라트는 다른 주택과 얼마나 차별화돼있고 살기에 편리한
가에 의해 가치가 올라가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차별화한다고 해서 무작정 컬러플하게 원색으로 마감한다든지
하면 오히려 선호도가 떨어질 수도 있다.

또 사업주의 개인적인 취향이 지나치게 강하게 반영된 빌라나 빌라트는
분양에 실패할 확률이 높다.

고급주택으로서의 격조를 유지하면서 차별화된 빌라나 빌라트를 지어야만
분양에 성공할 수 있다.

김영수 < 미주하우징컨설팅 대표 >

(한국경제신문 1997년 4월 9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