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분양가 자율화하면 6~8년뒤 집값 떨어진다"..세미나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급격한 경기하락으로 긴축정책이 불가피하면서 주택공급확대가
필요한 올해말이 분양가 자율화에 가장 적합한 시점으로 지적돼 눈길을
끌고 있다.
이같은 주장은 삼성경제연구소가 5일 서울 한강로2가 국제센터빌딩에서
연 "주택시장의 분양가 자율화정책" 세미나에서 제기됐다.
이 분석결과는 분양가 자율화와 함께 택지공급을 추가로 30% 늘리고
긴축정책을 동시에 추진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서승환 연세대교수 이규황 삼성경제연구소부사장 윤재호 수석연구원이
공동으로 연구, 이날 발표한 주제논문에서 분양가 자율화이후 집값은 2년뒤
최고 1.6%까지 올랐다가 6년뒤부터는 0.2%선으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됐다.
땅값도 자율화 2~3년뒤 최고 1.9%까지 상승했다가 8년뒤부터는 0.2~0.5%
수준으로 내려갈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따라 전체 물가도 3년뒤 최고 0.4% 정도 올랐다가 7년뒤부터는 떨어질
것으로 예상됐다.
분양가 자율화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단계적 자률화가
요구된다고 지적됐다.
그 방안은 <>지방(서울.수도권제외)의 전용 25.7평(32평형)이상 중대형
<>지방의 모든 평형 <>서울.수도권의 전용 25.7평이상 중대형 <>서울.수도권
모든 평형에 대한 전면자율화순으로 제시됐다.
연구진들은 보완대책으로 저당조건부대출제도(모기지제도)나 앞으로
대출을 받기 원하는 장기 수요자들이 모여서 저축기금을 조성하는 저축-
대부제도 등을 도입하고 재산세 누진율상향조정, 호화사치성 건자재에 대한
특별소비세 부과 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같은 보완대책을 바탕으로 분양가가 자율화되면 주택가격상승 기대
심리가 없어지고 가수요자들이 크게 줄어들어 실수요자 중심의 주택시장이
만들어진다는 것이다.
< 김철수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11월 6일자).
-
기사 스크랩
-
공유
-
프린트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