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전·외교비서관 잇단 사퇴에 김성한 교체설까지…방미일정 조율서 일정 보고 누락설방미 이후 '총선 차출설' 박진·권영세 빠지며 외교·안보 진용 대대적 '자리 이동' 관측 윤석열 대통령의 미국 국빈 방문을 한 달도 남겨두지 않은 가운데 대통령실 외교·안보 라인에 '이상기류'가 감지되고 있다. 의전비서관과 외교비서관이 연이어 교체된 데 이어 외교·안보 정책을 총괄하는 국가안보실장 거취 문제까지 대통령실 안팎에서 거론되고 있다. 정상외교 최고 이벤트로 꼽히는 '국빈 방미'를 조율하는 과정에서 매끄럽지 못한 부분이 있었고, 이와 맞물린 인사조치 성격이 아니겠느냐는 분석도 일각에서 나온다. 28일 대통령실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최근 안보실 이문희 외교비서관을 교체했다. 이 비서관은 친정인 외교부로 복귀, 당분간 본부 대기발령 상태로 있을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지난 10일에는 김일범 의전비서관이 윤 대통령의 일본 방문을 불과 엿새 앞두고 자진 사퇴 형식으로 물러났다. 직업 외교관 출신인 두 비서관 모두 지난해 5월 윤 대통령 취임과 함께 일해왔으며 순방 때마다 대통령을 지근거리에서 보좌해왔다. 대통령실은 "개인 신상에 따른 사퇴" 내지 "격무에 따른 인사 교체"라고 공식 설명했지만, 대통령 방일·방미 일정이 맞물리는 시점에 핵심 실무 참모들이 연이어 바뀐 것은 이례적이라는 게 외교가의 공통된 시각이다. 방미 이후에도 5월 하순 일본 히로시마 주요7개국(G7) 정상회의 및 한미일 정상회담 등 다른 정상외교 일정들이 예정돼 있다. 모두 윤 대통령이 취임 초부터 강조한 한미일 삼각공조의 내실을 다지는 핵심 일정들이다. 연이은 비서관 교체에는 동일한
동북아역사재단 29일 일본 교과서 분석·대응방안 세미나 일본 문부과학성 검정을 통과한 초등학교 교과서 일부에서 '징병'이라는 표현이 빠지고 '지원'이라는 용어가 사용된 것에 관해 전문가들은 결과적으로 뒤틀린 역사 인식을 키울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했다. 조윤수 동북아역사재단 교과서연구센터장은 28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일본 교과서에 '지원해 병사가 된 조선의 젊은이들'이라는 표현 등이 사용된 것에 대해 "(전쟁터에 보내는) 제도를 시행한 것 자체가 압력"이라며 "원해서 일본 군인이 됐다는 오해를 낳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도쿄서적 교과서는 병사들이 줄을 맞춰 앉아 있는 사진에 기존에는 "병사가 된 조선의 젊은이들"이라고 설명을 붙였는데 이번에 "지원해"를 추가했다. 조 센터장은 외형상 지원병으로 보냈더라도 당국이 여러 가지 방식으로 당사자들에게 압력을 가했으므로 사실상 선택의 여지가 없이 일본군이 된 이들이 있다고 짚었다. 교육출판 교과서는 "일본군 병사로 징병해 전쟁터로 보내거나 했다"는 설명에서 이번에 "징병해"를 삭제했다. 조 센터장은 일제가 조선인을 지원병으로 전쟁터에 보내다가 나중에 징병을 실시했는데 만약 교과서에서 의도적으로 징병을 제외하거나 지원을 부각하면 균형 있는 서술로 보기 어렵다고 평가했다. 그는 '다케시마(竹島·일본이 주장하는 독도의 명칭)가 일본 고유의 영토이고 한국이 불법 점거를 하고 있다'는 취지의 기술이 교과서에 일제히 실린 것은 새로운 학습지도요령 해설서에 따라 수년째 이어진 현상이라고 풀이했다. 조 센터장은 "이런 교과서로 배운 미래 세대는 한국에 대한 편견과 잘못된 인식 갖게 될 것이
2023년도 재외공관장 회의 참석자 귀국한 각국 주재 공관장들이 K-POP 현지 진출 협력을 위해 28일 그룹 방탄소년단(BTS)의 기획사 하이브를 방문했다. 외교부에 따르면 공관장 100여명은 하이브에서 K-POP 최신 흐름을 반영한 해외 진출 계획을 청취하고 현지 공관과의 협력 방안에 관해 이야기를 나눴다. 이날 공관장들은 상록보육원과 교남 소망의 집을 찾아 봉사활동을 하고 '청년 세대와의 대화'에 참석해 청년 해외 진출과 국제사회 기여에 관한 의견을 교환했다. 공관장들은 글로벌 세일즈 외교를 위해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국항공우주산업(KAI) 관계자와 방산물자 수출전략회의도 열었다. 회의에 참석한 방산업계 관계자들은 방산수출이 수출대상국과의 정치·경제적 관계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가 필수적인 분야라며 공관들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에 대해 재외공관장들은 공관-유관부서-방산기업간 협업체계 강화 방안을 협의했다고 외교부는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