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정은 변호인과 협의…가급적 주말 활용하면 좋겠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30일 위례·대장동 개발 비리 의혹과 관련한 검찰의 추가 소환조사 요구에 "모욕적이고 부당하지만, (대선) 패자로서 오라고 하니 또 가겠다"고 밝혔다. 이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자청해 "참으로 옳지 않은 일이지만, 결국 제가 부족해서 대선에서 패배했기 때문에 그 대가를 치르는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대표는 "저의 부족함으로 선거에서 패배했고, 그 패배로 인해 사회 각 분야가 퇴보하고 국민이 겪는 고통이 너무 크다"며 "국민들이 겪는 고통이나 사회가 퇴보하면서 받는 엄청난 피해에 비하면 제가 승자의 발길질을 당하고 밟힌다 한들 우리 국민의 고통에 비교하겠느냐"고 했다. 그러면서 "그렇게 간절하게 저를 재차 소환하고 싶어하니 또 가겠다"고 덧붙였다. 검찰의 추가 소환에는 응하겠다는 뜻을 밝히되, 소환 요구가 대선 패배에 따른 정치 보복의 성격이 강하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향후 검찰의 구속영장 청구 및 기소 후 재판 가능성까지 고려하며 명분 싸움에 나선 것으로 해석된다. 이 대표는 출석 일자와 관련해서는 "수사라는 게 오늘 내일, 내일 모레 안 하면 큰일 나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변호인과 일정을 좀 협의하겠다"며 "가급적 주중에는 일을 할 수 있게 주말을 활용하면 좋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국민연금의 개혁 방안 마련 과정에서 보험료율(내는 돈)과 소득대체율(받는 돈)을 두고 국회 논의가 진통을 겪고 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의 민간자문위원회는 지난 27~28일 회의 끝에 4개 안을 일단 테이블에 올렸다. 현행 9%인 보험료율은 10년간 단계적으로 15%까지 올리자는 방안에 대다수의 공감대가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민간자문위 관계자는 30일 한국경제신문에 "지난 28일 회의에서 소득대체율과 보험료율은 4개 안이 테이블에 올라왔다"고 말했다. △ 보험료율 15%, 소득대체율 40% △ 보험료율 15%, 소득대체율 50% △ 보험료율 15%, 소득대체율 45% △ 보험료율 12%, 소득대체율 30% 등이다.현행 보험료율은 9%, 소득대체율은 40%(2028년 기준)다. A안은 '더 내고 그대로 받는' 안이고, B안은 '더 내고 더 받는' 방안이다. 당초 A안과 B안이 여야 측 자문위원의 대표안으로 제시됐지만, 소득대체율을 두고 양측의 괴리가 10%포인트나 나기 때문에 중재안 성격으로 C안이 나온 것으로 전해졌다.여기에 재정 안정을 강조한 한 자문위원이 B안에 반기를 들며 아예 소득대체율을 낮추는 D안까지 제시했다. 기금 재정을 생각하면 소득대체율을 현재보다 오히려 내리면서 보험료율을 올려야 한다는 주장이다. 보험료율을 높이면 국민연금 기금에 들어오는 돈이 늘어나지만, 소득대체율까지 인상하면 지급액도 같이 증가해 국민연금 개혁 효과가 반감되기 때문이다. 참석자에 따르면 자문위원 대다수는 보험료율 15%까지 인상엔 공감대가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소득대체율을 놓고 괴리가 커 의견은 결국 좁혀지지 못했다. 최종적으로는 A·B 안을 제시하거나, A&mid